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3 01:24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문학] 무대위 예술, 100년을 비추다

전북연극協 출간…탈놀이·인형극 등 전통 연희양식 서술

지역 연극사는 한국 연극사의 기층단위다. 일차적으로 한국연극사를 취합하는 작업인 동시에 이차적으로 각 지역별 연극 특성을 규명해 한국 연극의 형질을 가늠케 하는 일이다.

 

척박한 땅이었을망정 끈끈한 생명력을 이어온 전북 연극 100년은 그래서 한국 연극 100년, 신연극 100년과도 맥을 함께 한다. 전북연극협회(회장 류경호)가 질적·양적으로 커다란 진전을 이뤘던 전북연극의 뿌리를 간추려 「전북연극사 100년」(전북연극협회)을 출간했다.

 

참여한 필진은 이원희 한국사이버대 교수, 곽병창 우석대 교수, 김정수 전주대 교수, 극작가 최기우씨. 문치상 편집위원장을 비롯해 김기홍 강택수 류영규 박병도 류경호씨가 편집위원으로 가담했다.

 

문치상 편집위원장(좌) 류경호 연극협회장 ([email protected])

류경호 회장은 "지난해 한국 연극 100주년을 맞아 「전북연극사 100년」을 통해 신연극 발자취를 보존하고 전북 연극의 우수성을 알려 발전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며 "실증적 자료 접근엔 한계가 있었으나, 이원희교수의 고증을 통한 기록과 자료로 그 면면한 흐름을 정리한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라고 말했다.

 

풍농·풍어굿, 망자굿, 재수굿 등 굿의례와 함께 탈놀이와 인형극, 판소리와 창극까지 우리 전통 연희양식을 아울러 서술했다는 점이 특징. 연극 용어가 사용됐던 시점으로 국한시키면 전통 연희는 제외되지만, 근대 연극은 서구적 모델이기 때문에 포함됐다.

 

판소리의 연희적 요소와 소리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한 창극 출현, 3·1운동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청년운동단체에 의한 소인극이 탄생했던 1910~20년대, 침체됐던 전북 연극계를 일으켰던 신극 단체'연양사'가 태동된 1930년대, 해방 전 시기, 해방 후 전북극예술협회가 발족됐던 1950년대까지 굵직굵직한 사건 중심으로 전북 연극사가 엮어졌다.

 

1960~70년대엔 박동화와'창작극회', 살롱극과'행동무대', 문치상과'비사벌 극회'등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가 1978년 박동화 선생의 타계로 전북 연극은 암흑기를 맞는다. 1980∼90년대엔'창작극회'의 부활, 극단'황토'와 소극장 연극운동의 전개, 전주시립극단의 탄생 등으로 다시 활발해진 판에'하늘''명태' 등 새로운 극단이 출현했고, 전북 연극제, 소극장 연극제가 진행되면서 현재까지 맥을 이어올 수 있었다.

 

다만 세밀한 개별 공연과 작고한 연극인들의 기록이 방대해 다 아우르지 못한 점이 아쉬운 대목. 차후 작고 연극인을 비롯해 연극인과 개별 작품을 통해 시대를 엮을 수 있는 또다른 기획물이 출간될 계획이다.

 

문치상 편집위원장은 "엉겅퀴처럼 질긴 인연들이 만나 억척스럽게 전북 연극을 가꾸고, 지키고, 다듬어 나가는 후배 연극인들의 의욕적인 자세가 오늘을 있게 했다"며 "한 권의 책으로 집대성한다는 것이 아쉽긴 해도 우리 지역 연극사 뿐만 아니라 학계나 공연예술계에도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