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복날이 지났다. 복날의 복(伏)자는 ‘엎드릴 복’ 자인데 사람인(人)+개 견(犬)자가 합쳐진 회의문자로 사람들이 개처럼 엎드려 지낼 만큼 더운 날이라는 뜻일 듯하다. 그런데 그 개 견자를 “복날은 개고기를 먹는 날”라고 곡해하는 사람들 때문에 오늘날 견공들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그런데 이날 더위를 이기기 위해 음식을 먹는 것이 <복달임> 일까? <복달음> 일까? 언뜻 같은 뜻의 말인 것 같으나 약간 그 의미가 다른 말이다. <복달임> 은 복(伏)이 들어 기후가 지나치게 달아서 더운 철이라는 시기나 때, 세월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복달음> 은 단오에 수리 취나물로 수레 떡을 해 먹고 창포로 머리를 감으며 보름날은 밤, 은행, 호두를 깨물며 1년 열두 달 무사태평을 비는 등 축수를 한다. 이처럼 세시풍속의 축수를 통칭해 <복달음>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伏)을 꺾는다는 뜻으로 펄펄 끓는 음식을 즐기며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고 하는 것은 넓은 의미로는 <복달음> 일 수도 있지만 <복달임> 이 맞다. 복달임> 복달음> 복달음> 복달음> 복달임> 복달음> 복달임>
삼복(三伏)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절기다. 하지가 지난 다음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末伏)이라고 하는데, 이를 삼복이라 한다. 이 시기를 가장 무더운 ‘삼복더위’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 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의미에서 높은 관리들에게 쇠고기와 얼음을 하사하였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은 귀한 쇠고기 대신 개고기를 끓여 먹었으며 시원한 계곡을 찾아 발을 담그거나 냇가에서 모래찜질하며 더위를 물리쳤는데, 이를 복달임 또는 복놀이라고 했다. 이때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 <보신탕> 과 <삼계탕> 이었다. 삼계탕> 보신탕>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