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20:45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61. 죽다와 살다 - 힘이나 기운 나타내는 '살'을 오래 끓이면 '죽'

한국 사람처럼 ‘죽는다’는 말을 잘 쓰는 사람도 없다.

 

아파서 죽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좋아서 죽겠다”, “예뻐서 죽겠다”, “맛있어서 죽겠다”, “반가워서 죽겠다”고 한다. 이렇게 우리는 밉고 슬프고 외로울 때만 죽는 것이 아니다. 좋을 때도 죽겠고 기쁠 때도 죽겠다고 한다. 헤어지면 ‘보고 싶어서 죽겠고’ 만나면 또 ‘반가워서 죽겠다’는 등 전천후의 ‘죽겠다’ 문화 속에서 살고 있다.

 

감정표현만이 아니다. 생명 없는 물건을 놓고서도 죽는다는 말을 잘 쓴다. 풀이 죽고 시계가 죽고 맛이 죽는다. 자기가 죽는다는 것은 그래도 낫다. 아이나 어른이나 조금 화가 나면 아주 쉽게 죽여 버린다는 말을 한다. 물론 정말 죽일 생각이 있어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입에 밴 말이다.

 

그러면 ‘죽다’의 어원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살이 빠졌다”, “살이 쪘다”는 말에서 살은 몸의 구성 일부를 뜻한다. 그리고 햇살, 물살도 있는데 여기서 ‘살’은 힘이나 기운을 나타내는 말로 그 기운이 뻗어간다는 의미다. 이런 의미의 ‘살’에 ‘-다’라는 어미를 붙이면 ‘살다’가 되어 힘 또는 목숨을 이어가는 ‘살다’라는 동사가 된다.

 

그런데 몸의 구성 물질인 ‘살’을 오래 끓이면 ‘죽’이 된다. 여기에 ‘-다’라는 어미를 붙이면 ‘죽다’가 되어 무르고 생명력을 잃은 ‘죽다’가 된다. ‘죽다’의 뜻을 가진 말도 많다. 우리 말에서 별세, 운명, 영면, 작고, 타계, 서거, 승하, 선종 등이 있다. 뒈졌다, 뻗었다, 골로 갔다 등 경우에 따라 각기 달리 ‘죽음’을 표현해 왔다.

 

‘살다’는 말은 새벽바람처럼 신선하다. 아름답고 싱싱하게 들린다. ‘사람’이라는 말 자체가 ‘살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말이다. ‘얼다’에 ‘음’을 붙인 것이 ‘얼음’이듯이 ‘살다’에 ‘암’을 붙여 명사형으로 만든 말이 ‘사람’이다. 그리고 ‘죽’에 명사형 ‘음’을 붙인 것이 ‘죽음’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