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4:23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참여&소통 2018 시민기자가 뛴다] 삶 밀착 정보 넘치고 지역 변화 이끌 '우리 동네 스피커' 키우자

● 전북 마을미디어 네트워크 발족
전북, 활성화 지원 조례 있었지만 그간 위원회·지원안 등 확보 안돼
전북도, 내달 위원회 공식화 예고…지방의원 정보 매개 역할 기대도

▲ 전북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마을공동체미디어들이 지난 21일 ‘전라북도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 네트워크’라는 연대 조직을 꾸리고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2018 시민기자가 뛴다, 참여&소통’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직접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공간입니다. 올해는 최성은 전주시민미디어센터장과 신진철 전북자연환경연수원장, 이민욱 전북대학교 신문사 전 사회부장, 박연수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 사무국장이 참여해 마을미디어, 생태, 청년소식, 교육현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조명합니다. ‘참여&소통’은 오는 10월까지 매주 수요일자에 게재됩니다.

“이제는 마을공동체미디어다.”

전북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마을공동체미디어들이 ‘전라북도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 네트워크(전북마을미디어 네트워크)’라는 연대 조직을 꾸리고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 단체는 지난 21일 전라북도의회에서 창립을 위한 대표자 회의와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 출범했다. 네트워크는 풀뿌리 언론활동 및 정책대응 활동과 더불어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공약검증과 토론회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북마을미디어 네트워크에는 마을신문이나 마을방송 활동을 하는 마을공동체미디어와 이를 지원하고 연구하는 미디어센터, 시민단체 그리고 학계 등 17개 단체가 참여했다.

삼천동마을신문, 송천동마을신문, 우리마을신문, 월간아중리, 평화동마을신문, 하가신문, 학마을 사람들(전주), 완두콩(완주), 지리산 산내마을신문 등과 같은 마을신문이 참여하고 있다. 또 노송FM, 혁신FM(전주), 순창FM, 진안TV 등 마을방송, 그리고 익산공공영상미디어센터 재미,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호남언론학회 등이 함께 하고 있다. 네트워크의 실무를 담당하는 집행위원회가 꾸려졌고 김수돈 편집인(평화동 마을신문)이 집행위원장에 선출됐다. 전주시민미디어센터가 간사를 맡아 실무를 집행할 예정이다.

마을공동체미디어는 지리적으로나 생활적으로 매우 밀착되어 있는 생활공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를 말한다. 운영이나 제작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있고, 내용적으로는 공동체의 일상에서 동네의 이슈까지 공동체 구성원의 삶과 매우 밀착된 것들을 다루고 있다. 도내에는 오래전부터 마을공동체미디어가 주민들에게 밀착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었다.

각자의 영역에서 활동하던 마을공동체미디어 관련 단체들이 연대를 도모하고자, 지난 겨울부터 4차례의 간담회와 준비위원회를 통해 이번에 발족하게 됐다.

전북에서는 지난 2006년 전국 최초로 마을공동체미디어에 대한 행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전라북도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 지원 조례’가 제정됐지만 지난 1년 3개월 동안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있다. 마을공동체미디어 지원을 위한 위원회와 지원계획 수립, 예산 등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 상태였던 것이다.

전북마을미디어 네트워크는 창립기자회견에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지속가능한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실효성이 제고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한 도 차원의 조례에 대한 정책적 대응뿐만 아니라 시군단위의 마을공동체미디어 지원조례 제정을 위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행히 최근 도 차원의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 위원회 구성에 속도가 붙었다. 전라북도는 4월 초 위원회를 공식화 할 예정이다. 박훈 사무관(전라북도 농촌활력과)은 “앞으로 마을공동체미디어 단체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워크숍과 세미나 등을 시행하고, 전문가와 소위원회를 구성해 9월 까지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최성은 전주시민미디어센터장
▲ 최성은 전주시민미디어센터장

네트워크는 도민들의 미디어 활용 능력을 높이고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변화와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풀뿌리 언론활동을 수행한다. 더불어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공약검증과 토론회, 그리고 주민 중심의 선거 의제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손주화 국장(전북민언련)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활동에 대해 “기존매체의 한계상 잘 다뤄지지 않는 시군의원 정보와 유권자가 원하는 내용들을 기초단위를 대표하는 시도의원에게 전달할 계획”이라며 “지역후보자 정보 전달, 유권자 의제를 선정 발굴해 시민들에게 전달, 정책선거, 인물검증 선거, 지역민이 참여하는 선거 문화를 만들기 위해 마을공동체미디어가 함께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동안 지방선거의 정책토론회는 자치단체장에게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정작 주민들과 가장 밀착한 기초 의원들에 대한 정책적 검증을 위한 토론회는 진행되지 못했다.

마을미디어의 이런 역할은 대의제 미디어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 미디어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초대 집행위원장에 선출된 김수돈 전주 평화동 마을신문 편집인 "물리적 인프라·재정적 어려움 넘어 지속가능하도록"

- 정책 마련·지자체와 협력체계 지원 조례근거 발전 토대 구축

- 행정조직 변화·조례 제정 과제

김수돈 전주 평화동 마을신문 편집인
김수돈 전주 평화동 마을신문 편집인

 전라북도 마을공동체미디어 네트워크는 회원단체 대표로 구성된 대표자 회의와 네트워크회의 제반 운영사항을 총괄하는 집행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초대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된 김수돈 전주 평화동 마을신문 편집인를 만나 네트워크 창립과 활동에 대해 들어봤다.

-마을공동체미디어활성화 네트워크를 창립한 배경은?

“주민들이 스스로 만들어낸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위상을 우리 주민들 힘으로 정립하자는 뜻에서 출범했다. 우리 전라북도 지역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마을공동체미디어 활동 양상에 비해 공공의 정책적 뒷받침이 아직은 미흡한 형편이다. 이런 만큼, 마을공동체미디어 스스로가 활성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여기에 전라북도와 시군의 마을공동체미디어 정책 마련을 통해서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마을공동체미디어 활성화를 내걸었다. 어떤 의미인가?

“활동의 지속성과 성장을 도모하자는 의미다. 산발적이지만 주민들 스스로가 움직여서 만들어내고 활동하는 공동체미디어들이 물리적 인프라나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에 중단되지 않고, 또 외롭게 활동하다가 사라져가지 않고 마을 안에서 꾸준히 활동해나갈 수 있게끔 돕자는 것이다. 이런 도움에는 이웃한 공동체미디어들뿐 아니라 공공의 지원정책도 포함되겠다.”

-현재 마을공동체미디어들에게 가장 관건이 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재정 문제다. 일반적으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운영 재정은, 주민들 스스로 모은 회비나 후원금이 주다. 마을신문을 발행할 때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광고를 의뢰하면서 광고비조로 후원하기도 한다. 이런 방식으로 자체적인 재정을 만들지 못한 마을미디어들은 초기에 공모사업 같은 데 의지해서 시작했다가도 몇 년 안에 자리를 못 잡고 중단되기도 한다. 공모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마을미디어 활동을 시작할 수는 있지만, 자체적으로 재정을 확보하지 못하면 지속되기가 어렵다. 주민들이 회비만 모아서 운영하기도 어렵다. 평화동의 경우는 후원하는 주민들이 그나마 어느 정도 있어서 후원금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좀 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어떤 수익모델을 만들 것인가가 고민이다.”

- ‘전라북도마을공동체미디어지원조례의 실효성 강화’같은 정책적 요구를 내걸고 있는데, 이런 요구는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것인가?

“자치단체의 정책적 뒷받침이 마을미디어의 재정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줄 수는 없다고 본다. 재정문제는 근본적으로 마을미디어 당사자의 자생력에 달려있다. 전라북도 조례의 핵심은, 마을공동체미디어 육성과 지원을 위해 자치단체가 가져야 할 책무다. 이 조례를 근거로 해서 다양한 공동체미디어 모델이 탄생하고 공동체미디어들이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를 구축해가자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민간의 활동을 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변화시켜내고 민관이 협력해서 마을공동체미디어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하자는 것이다.”

-네트워크가 요구하는 마을공동체미디어정책, 우선적으로 어떤 과제가 필요할까?

“현재 전라북도에는 마을공동체미디어와 직접 관련된 부서조차 없다. 행정조직의 업무분장조차 안된 상태로 어떤 정책을 펴겠는가? 민간의 활발한 움직임을 수용하고 뒷받침하게끔 행정조직이 바뀌어야 한다. 아울러 이와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할 근거로 시군단위의 조례 제정도 필요하겠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