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4:27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새벽메아리
일반기사

숫자와 일상생활

김형중 시인·前 전북여고 교장
김형중 시인·前 전북여고 교장

우리들은 실타래처럼 엉킨 다른 사람들과의 이런저런 관계로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적동물이다. 대인관계가 인생행로의 나침반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혈육이나 이웃들에 대한 그리움의 표출도 어색한 세상이 되었다. 현대인들은 자연이나 생활에 편리한 과학문명의 혜택과 주위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을 얼마나 느끼면서 살고 있을까.

여러 분야에 얽힌 것들 중의 하나가 숫자와의 밀접한 관계가 아닌가 한다. 숫자는 천사오백 년 전에 처음으로 인도에서 발명되어 상인들에 의해 아라비아로 건너갔다가 다시 유럽으로 전해졌기에 인도숫자가 아닌 ‘아라비아숫자’라고 불린다.

수많은 숫자들 중에서 좋아하는 숫자와 싫어하는 숫자가 사람마다, 또는 각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체로 3, 7. 8. 9는 좋아하는 숫자에 4. 6, 13 등의 숫자는 싫어하는 숫자에 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사람들은 대체로 ‘3’과 ‘7’을 좋아하는데, 특히 ‘3’은 심리적인 안정을 주면서 확신과 공정성의 시비를 막는다고 한다. 재판과정의 삼심제나 삼세판,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민주주의를 지탱하고 있는 삼권분립제도를 비롯해 일상에서 회자되는 서당 개 3년, 작심삼일, 세살 버릇, 삼복더위 등 헤아릴 수 없이 생활문화 속에 살아있다.

만약에 1,2,3에서 9까지만 있었고 ‘0’이 없었다면 2019년과 219년을 그리고 1원과 10원을 어떻게 표시했을까. 그렇다면 ‘0’이라는 숫자가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얼마나 불편했을까?

‘0’의 숫자가 최초로 쓰인 것은 870년 경 인도에서부터였다고 한다. ‘0’은 실체가 없었던 무(無)의 개념을 기호화 시켜 놓은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이 ‘0’의 발견을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견중의 하나라 하여 매우 높이 평가한다고 한다. 사용하는 숫자들 중에서 ‘0’은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고 비어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인도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숫자가 크게 발달하지 못했던 이유는 대중적이지 못하고, 승려나 왕족들만 수학을 연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인도는 14억의 인구 숫자만큼이나 수학이 발달해서 인터넷이나 과학이 앞서가는 나라가 되었다

21세기의 사람들은 지난날들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것들이 너무 많아서 탈이다. ‘너무 많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너무나 많은 비참함과 억울함과 슬픔과 비극을 낳을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궁핍했던 지난 60년대 이전의 시대와 너무 많아서 넘쳐나는 시대적 차이는 그것들이 갖고 있는 존귀한 가치를 모두 상실해버린다.

아무 것도 없다는 제로를 나타내는 ‘0’과 반대로 너무나 많아 주체를 못하는 정보나 물질과의 비교가 시간을 멈추게 한다. 현대인들이 물질문명의 혜택을 멀리하고 1차 산업시대로 돌아간다면 그 불편함을 이겨낼 수 없듯이 젊은 사람들에게서 희망이나 지향하는 목표가 없다면 삶의 가치는 무미건조할 것이다.

제로상태이거나 없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절망이나, 의욕을 잃고 사는 것보다는 다가오는 것들에 대한 희망을 갖는 것은 우리들의 인생을 좌우하는 갈래 길이 될 것이다.

사람들의 욕심과 능력은 저마다 성향에 따라 다르다. 머릿속에 그려진 숫자의 욕심을 절제하고 능력을 적재적소에 발휘한다면 환상적인 조합이 될 것이며, 덧붙여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시너지 효과와 더불어 삶의 질은 더욱 아름답게 격상될 것이다. /전 전북여고 교장 김형중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