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22:4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재·학술
일반기사

[무성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 (상) 실태

소박한 크기의 무성서원, 최치원의 가르침 고스란히
기울어진 땅, 건축 통해 수평을 맞춘 유생들의 지혜
곳곳에 역사의 흔적 그대로 품고 있어
최치원 모신 사당과 유생의 공부공간인 강당, 일직선의 아름다움

지난해 7월 6일,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에서 열린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무성서원을 포함한 한국의 9개 서원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무성서원이 대한민국 문화재를 넘어 세계의 문화유신이 된 것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을 맞은 무성서원의 현 모습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2번에 걸쳐 살펴본다.

 

한국의 9개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지 1년을 맞은 6일 정읍 무성서원의 소박하지만 자연의 섭리를 거스리지 않은 건축물과 누구나 공부 할 수 있는 보편적 교육기관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오세림 기자
한국의 9개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지 1년을 맞은 6일 정읍 무성서원의 소박하지만 자연의 섭리를 거스리지 않은 건축물과 누구나 공부 할 수 있는 보편적 교육기관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오세림 기자

정읍 칠보에 위치한 무성서원은 마을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서원 입구의 오른쪽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라는 비석이 서 있고, 기존 하얀 비석은 왼쪽으로 옮겨졌다. 풍화작용으로 희미해진 비석에는 ‘領相李最應不忘碑’(영상이최응불망비)라고 적혀 있다. 무성서원의 가치를 나타내는 비석 중 하나다.

이 비석은 1882년 고종 19년에 세워진 것으로, 당시 흥선대원군인 이하응의 형인 이최응이 하사했다. 당시 영의정이었던 이최응의 하사품이다. 1868년(고종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정책이 펼쳐질 당시 살아남았던 원동력 중 하나였다.

정문인 현가루(絃歌樓)를 지나자 트인 마당에 옛 유생들이 공부했던 공간인 강학영역이 보였다. 강학영역에 위치한 건물은 강당이라 불리는데 양 옆에 방이 존재하고 앞뒤가 트인 마루가 있었다. 이 강당의 건축에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었다. 강당 앞 마당은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았다. 하지만 강당을 지탱하는 축대를 왼쪽은 낮고 오른쪽은 높게 만들어 수평을 이루도록 지어졌다. 1500년 전에 선조들의 지혜를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강당 뒤에는 또 하나의 문이 보였다. 바로 재향영역으로 들어가는 내삼문(內三門)이었다. 내삼문을 들어가자 천장은 매우 낮았다. 이는 자신들이 모시는 재향공간으로 들어올 때 자연스레 예를 갖출 수 있도록 고개를 숙이도록 지어졌다.

내삼문을 지나자 최치원의 초상를 모신 ‘태산사(泰山祠)’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태산사의 문을 열자 그 안에 최치원의 초상화가 북쪽 벽에, 눌암 송세림, 영천자 신잠, 명천 김관이 왼쪽에, 불우헌 정극인, 묵재 정언충, 성재 김약묵의 위패(位牌)가 오른쪽에 봉안되어있다. 태산사는 일년에 두 번 그 문이 열리는데 이들에 대한 제사를 지낼 때만 열린다고 한다. 강당 마당 오른쪽 문을 통과하면 유생들의 숙소인 ‘강수재(講修齋)’가 있었다.

무성서원의 또 다른 아름다움은 현가루와 강당, 내삼문, 태산사가 모두 일직선으로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다. 보통 한국의 서원은 재향공간을 왼쪽켠에 높게 위치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런 무성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첫 번째는 무성서원에 안치된 최치원이란 인물덕이다. 타 서원에는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를 모셨지만 최치원은 통일신라시대 사람이다. 당시 신라의 신분제인 골품제에서 6두품(六頭品)출신의 지식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다는 점이다. 또 다른 부분은 마을 한 가운데 존재했다는 점이다. 무성서원은 교육의 기관이 아닌 마을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역할도 했던 셈이다. 적자들만의 교육기관 즉 엘리트 교육기관이 아닌 학문을 원하는 자면 누구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받아줬던 보편적인 교육기관을 자처했다는 점이 높게 평가된 것이다.

이흥재 무성서원 부원장은 “무성서원은 일반 서원과는 다르게 마을 한 가운데에 존재해 교육을 도맡을 뿐아니라 소통의 공간이었다”면서 “건축의 양식 또한 자연의 섭리를 거스리지 않고 꾸미지 않은 성리학 그 본연에 바탕을 둔 서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기획 #무성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