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3시 준공식 후 전라감영 공개돼
준공까지 험난…구 도청사 철거·복원영역 놓고 논란도
“추후 서편 남편까지 확대해야” 목소리
복원된 전라감영이 7일 준공식을 갖고 시민의 품에 안겼다.
이날 공개된 전라감영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넘나들고 있었다. 전라감영 내부의 세 번째 출입문이었던 내삼문(內三門)은 복원된 전라감영의 새로운 출입문으로 자리잡았다. 내삼문 입구 양 옆에는 전라감영의 의미와 과거 역할을 담은 정보를 담았다.
‘임금의 덕을 베풂으로써 백성을 교화한다’는 뜻을 품고 전라감사 집무실이었던 선화당 내부는 1884년 미국 임시 대리공사인 조지 클레이튼 포크가 촬영한 과거 사진을 디지털병풍을 통해 선보였다. 좌청룡, 우백호가 그려진 병풍 앞에는 관찰사의 자리가 마련됐다.
부녀자들이 거처하던 관청의 안채인 내아에는 3D로 제작된 콩쥐팥쥐 영상과 다양한 교육과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됐다. 내아의 부속건물인 내아행랑에는 통인청(소리), 선자청(부채), 지소(한지), 인출방(출판)에 대한 감영의 특별함을 담은 소재로 채웠다.
전라감영은 과거 전주한지를 이용한 완판본 고소설 70여종을 간행해 조선 인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또 단옷날 임금께 진상하는 최고의 부채를 만드는 선자청 등을 뒀고, 판소리 최고 등용문인 전주대사습놀이를 열어 오늘날 전주가 소리의 고장으로 자리매김하는 토대가 되는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감영의 특별함을 담은 소재로 채워졌다.
전라감사의 휴식공간인 연신당에는 감영의 건축양식과 역대 감사를 360도 VR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외에도 관풍각에는 전라감사가 지역을 순회하는 코스와 그 장면을 담은 만리경 VR시스템을 통해 역사로의 여행을 즐길 수 있다.
전라감영이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재탄생될때까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1996년 전북도청사 이전이 확정된 후 전라감영 복원 문제가 본격 거론됐다.
복원이 논의되자 구 도청사에 입주했던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셌다. 구 도청사가 가진 역사적인 시간도 무시할 수 없고, 현대사의 문화재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전라감영복원에 부정적인 시각들이 존재했다. 여기에 감영복원에 관련해서도 완전복원과 외적인 상징복원, 부분복원에 대한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면서 20년 넘는 시간이 허비됐다.
2004년 12월 전라감영복원 재창조위원회가 발족한 후 현재까지 18차례의 전체위원회의 및 39차례의 실무위원회 등 총 57차례의 회의가 이뤄진 것을 보면 의견이 첨예하게 갈렸다는 것을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게 2016년 전라감영지 발굴조사를 통해 관풍각, 내삼문, 비장청 등의 연관 시설을 확인하고,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 추정되는 건물터 등이 확인되면서 전라감영 복원이 급물살을 탔다.
이후 2018년 7월 25일 선화당 건물에서 상량식을 개최하고 지난해 11월 30일 선화당을 비롯한 현재의 동편부지가 재창조 복원됐다.
이명우 전라감영재창조복원위원장은 “전라감영은 현재 미완의 상태”라며 “감영의 대문인 포정루, 대사습놀이의 기원이 된 통인청 등이 있던 서편, 현 완산경찰서가 있는 남편부지까지의 재창조복원도 관심을 가지고 풀어야할 문제이자 숙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