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갑 인스코비 대표이사
꿀벌(Apis mellifera)의 보전 상태는 가장 낮은 ‘관심필요’부터 ‘절멸’까지의 7단계 중 딱 한 가운데인 ‘위기’(endangered)로 분류되어 있다. 꿀벌은 새 등 천적의 먹이가 되기도 하고 100대 농작물 생산의 77%에 기여하는 식물의 번식 파트너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벌꿀과 프로폴리스, 봉독 등 꿀벌 산물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4000억여 원에 이르며 화분 매개의 공익적 가치는 무려 6조원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산출물의 경제적 가치에 한정되어 과소평가되었던 양봉산업의 가치가 요즘 들어 화분 수정 기능이 갖는 공익적 가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대로 평가받게 되어 다행이다. 한편 양봉 산출물의 부가가치를 높여서 공익적 가치 못지않게 산출물의 외부효과를 키우려는 노력도 주목받고 있다. 봉독으로 생물학적 신약 개발에 온 힘을 쏟아 붓는 바이오테크들이 그 주인공이다.
동물 독은 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 있지만, 독을 먹어도 적은 양이면 대개는 소화 효소에 의하여 쉽게 파괴된다. 열, 화학제, 살균제, 산화 물질 등에 의해 독성이 파괴되거나 그 작용이 약해진다. 반복적으로 주사하면 면역을 얻을 수도 있다. 백신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독을 조금씩 강도를 높여 동물에 접종하면 혈액 속에 일정 기간 동안 면역적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런 혈장은 항바이러스처럼 작용하며 그 독에 대해서 수동적 면역을 갖게 된다.
꿀벌의 독도 소량을 잘만 쓰면 ‘호메시스 효과’로 약이 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인 알레르겐을 대부분 제거하고 치료성분만을 정제하여 만든 주사액이 봉독치료제다. 국제적인 표준 치료법으로 만성 통증과 난치성 면역질환을 치료한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오래된 치료법이다. 고대 문명의 발상지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에서 벌꿀을 약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160년 한나라에서 나온 <마왕퇴의서> 에도 봉독을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마왕퇴의서>
봉독은 멜리틴, 아파민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분해효소, 포스폴리파제 A2 효소와 도파민, 히스타민,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 물질로 구성돼 있다. 비중이 가장 높은 멜리틴 성분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등을 자극하여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소염진통, 살균, 항암, 면역증대 작용을 한다. 봉독에 들어있는 이들 성분으로 다발성경화증, 류머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및 바이러스가 초래한 감염병과 유방암을 낫게 할 치료제를 개발하는 일은 하늘에 구름도감(cloud atlas)을 짓는 것만큼이나 창의력과 끈기가 요구되는 일이다. 난해하고 버거운 대신 거룩한 일이기도 하다. 하나의 물질로 여러 적응증을 목표로 하는 ‘Pipeline-in-a-Product’ 전략이 유효한 분야이기도 하다.
꿀벌이 지상에서 사라지면 인류는 4년 안에 멸망할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꿀벌을 죽이지 않으면서 봉독만 추출하는 배려도 있다. 효능 검증과 원리 규명이 어렵고, 표준화를 위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생물학적 바이오신약 개발의 문제점을 하나 둘 거의 다 극복했다. 제약업계의 모든 연구자들은 약 하나가 한 해 20조원 넘게 팔리는 베스트셀러의 대체약을 찾고 있다. 이들의 가슴은 평생 약을 달고 살며 각종 부작용에 시달리는 난치병 환자들의 고통을 품고 있다. 어떡하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다. 독도 잘 쓰면 큰돈이 되고 또 희망이 된다. /구자갑 인스코비 대표이사
△구자갑 대표이사는 롯데오토리스 대표이사, 골든브릿지자산운용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