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 통근·통학으로 보는 전북도 생활권 분석
전북 내부 광역화를 위한 생활권 중요
초광역 대도시 형성 움직임 대응 위해 작지만 강한 독자권역 조성 필요
‘지역연계지수’ 전주-완주 26.6으로 가장 높아
전주·완주 통합논의 나오는 상황에서 생활권 가장 강화하는 추세
새해부터 화두로 떠오른 전북 독자 광역화 논의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새만금 단일 행정구역 조성과 전주-완주 통합을 토대로 광역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제에 걸맞게 인접도시 생활권 친밀도 역시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타도시보다 인구수가 적은 전북의 ‘작지만 강한 독자 권역 조성’이라는 목표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최근 발표된 전북연구원 제242호 이슈브리핑 분석 결과 해당 자료는 ‘통근·통학으로 알아보는 전라북도 생활권 이야기’를 주제로, 지난 1995년과 2015년 인구조사를 토대로 도내 생활권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최근 인구감소 추세에 더해 초광역 도시 논의와 관련된 전북도 상황과 시사점을 전달했다.
전북연구원 조사 결과는 전북을 강소형 독자권역으로 조성하고, 독자권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특히 내부 광역화가 필수적이라는 분석이다. 내부 광역화는 행정, 경제권, 생활권 등 다양한 형태로 접근할 수 있고, 생활권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실제로 지역 간 통근·통학량은 지역 내 생활권을 알아볼 수 있는 주요한 지표로 꼽힌다. 도내 시·군간 통근·통학량은 전주시와 완주군에서 가장 많은 이동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전주-익산, 전주-김제, 전주-군산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간 생활권이 얼마나 형성됐는지 알아보기 위한 ‘지역연계지수’에서는 전주-완주가 26.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군산-익산(15.0), 전주-익산(12.5), 전주-김제(9.7), 정읍-고창(9.7) 순이었다.
이 가운데 완주군은 1995년 대비 전주시와의 지역연계지수가 가장 큰 폭(21.9에서 26.6)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전주와 완주의 통근·통학량 비중과 변화량 또한 가장 많이 증가해 두 시·군 사이에 생활권이 가장 큰 폭으로 강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도내 접경 지역인 무주군, 순창군, 고창군 등까지 통근·통학량 증가로 전주 중심의 광역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해석됐으며, 특히, 군산, 김제, 부안 등 새만금 인접 지역의 통근·통학량은 1995년 대비 42.5%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동부권의 경우도 전주와 통근·통학량 및 지역연계지수가 높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완주군을 중심으로 통근·통합량과 지역연계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실제 통합으로까지 이뤄질 경우에는 전북 도내 전 지역을 아우르는 실질적인 광역도시가 완성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타 시·도의 초광역 도시 논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구·경북 통합이나 광주·전남 통합, 동남권 메가시티(부울경), 충청권 메가시티 등 도시 경쟁력 확보와 국가 균형 발전 등을 명분으로 광역지자체 간 행정 또는 기능통합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들은 모두 인구와 경제를 모두 흡수하는 수도권 블랙홀 현상을 막기 위한 독자적 통합론을 실천하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민주당 ‘국가균형발전·행정수도추진단’이 지방소멸을 막고 균형 발전 촉진을 위해 권역별 메가시티 육성(3+2+3 광역권) 전략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때문에 전북을 강소 독자 권역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특히, 최근 논의가 재개된 전주-완주 통합 등 내부 광역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