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봉호 선임기자
전남의 해상풍력 관련 기업유치 활동이 뜨겁다.
해상풍력사업을 동력 삼아 관련 기업을 집적화하고 지역경제발전을 한단계 더 높이기 위해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남에 비해 10년전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단지계획이 수립된 전북의 행보는 느슨한 인상을 주고 있어 안타깝다.
전남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48조원이 투입되는 신안 앞바다 8.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을 추진중이다.
이와관련, 지자체 차원에서 도내 해상풍력 관련업체를 수차례 방문하며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양질의 부지 제공, 생산물량 보장, 애로기술 해소를 위한 자금지원’ 등 당근을 제시하며 전남으로의 이전을 유혹하고 있다는 게 관련업체의 전언이다.
더구나 목포 신항만이 해상풍력 배후항만으로 개발된다는 소식에 수출까지 구상하고 있는 관련 기업들은 솔깃해 있다.
반면 전북은 어떠한가.
고창과 부안 앞바다에 2.4GW 규모의 서남권 해상풍력단지를 추진중이다. 2010년 수립된 이 계획은 2023년부터 가시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군산항은 해상풍력지원항만에서 제외된 채 올해부터 중량물 야적장 조성사업만 추진되고 있다.
중량물인 해상풍력 기자재를 조립하고 쌓아 둘 곳인 야적장을 만드는 계획만 진행되고 있을 뿐 아직 부두건설계획은 없다.
중량물은 덩치도 크고 무게도 많이 나가 육상 수송이 거의 어렵다. 그런 중량물이 야적장에서 해상으로의 운송루트를 확보하지 못하는 셈이다.
관련업계에서는 ‘중량물의 소비처가 해상인데 해상 운송로를 확보하는 부두없이 야적장만 만들어서 무엇을 하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물류비용부담을 우려, 도내 관련 기업들은 전남의 유혹에 내심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북·충남·인천 등 서해안에서의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규모을 보면 총 12개 단지 12.4GW로 사업비만도 67.9조원에 달한다. 또한 해상풍력 예상물동량은 2022년~2040년까지 380만톤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해상풍력 지원부두가 건설되지 않으면 물류비용부담을 이유로 도내 관련기업들의 전남 이주가 우려된다. 또한 이 사업에 따른 과실은 고스란히 타지역이 차지하게 된다.
반면 부두가 건설될 경우 도내 기업들이 인천·충남·전북권 서해안에서 계획된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다.
또한 군산항의 배후산단에 관련 기업들이 몰려 들어 새로운 산업기반이 형성되며 많은 일자리 확보로 지역경제가 회생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두란 관련 산업의 집적도와 항만운영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물동량 규모 등을 고려해 건설된다.
하지만 방죽을 파면 물고기가 모이는 것처럼 물류지원시설인 항만은 수요를 창출,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도 축조된다.
지난 2월 현재 군산국가산단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가동 중단 등의 여파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기계·철강·운송장비 관련 35개 업체가 휴업 또는 폐업을 하는 등 썰렁하다.
지역 사회가 모두 도내 정치권과 함께 반드시 군산항에 해상풍력 지원부두가 건설되도록 해야 한다.
‘전남으로 오라’는 손짓, 간과해선 안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