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초의 예술철학을 이야기하면서 통치자의 조건으로 체육과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 (The Republic, 기원전 380년경)>에서 국가를 올바르게 통치 운영하기 위해서 정치 수호 계급들은 청소년 시기부터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음악은 성장기 이전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에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도움이 되고, 통치자의 정치 헤게모니를 유지하기 위해 체육과 더불어 가장 필요한 덕목이라고 하였다. 그에게 있어 음악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한 하나의 초월적인 세계, 완벽한 이상의 세계였다.
오늘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음악이나 체육 같은 예체능과목은 교과과정 속에 구색 맞추기 위해 편성된 느낌이 들 정도이다. 어린 시절부터 젊은 날에 이르기 까지 인격형성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정서와 신체발달을 위해 예체능교육이 꼭 필요한 것은 고대 철학자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과거나 현재나 변함이 없다고 본다. 예체능 교육에 다시 한 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학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우리나라 대학의 현실을 직시하고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면적이 작고, 자원도 빈약하고, 자본 같은 기반도 없던 나라가 단 시간에 세계에서 알아주는 선진국의 대열에 설 수 있었던 것은 사람의 힘이고, 그것은 남다른 교육열, 교육 시스템이 있어서 훌륭한 인재를 많이 양성했고, 그들이 각 분야에서 능력발휘하며 열심히 일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세상이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 현실은 심각하다. 특히 대학의 현실은 더욱 어렵다. 10여년 가까이 반값등록금이니 등록금 동결이니 하면서 대학들의 숨통을 틀어막았고, 대학들은 설상가상으로 해마다 입학생이 줄어들어 교수들이 학생모집에 나서야 할 정도이다. 이러다 보니 대학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지난해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B) 조사 결과 한국의 대학 경쟁력은 64개국 중 47위로 추락했다. 유럽경영대학원의 ‘2021 세계 인적 자원 경쟁력 지수’에서도 한국의 고등교육 1인당 정부 지출 규모는 5773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회원국 가운데 31위였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에서 양질의 교육과 고급 두뇌 양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정부는 더 늦기 전에 대학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대학 자율성을 확대하고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세계적인 대학이 나온다. 올해 81조원으로 급증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대학 등 고등교육에도 배분돼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에 쓰일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교육부가 바뀌어야 교육이 바뀐다. 교육이 바뀌어야 대한민국이 바뀐다.
나라를 위한 백년의 대계는 교육에 있고, 또 그 교육을 통해 능력 있고 훌륭한 품성을 지닌 인재를 많이 길러 적재적소에서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데 있을 것이다.
필자는 어린 시절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를 읽으며 생명을 구하는 그림이 진정한 그림이라고 생각했다.
숨 가쁘게 변해가는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소년기부터 인격함양을 위한 정서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과 학교교육의 최종단계인 대학에서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대학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기이다.
/심가희 아트네트웍스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