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식량안보 심포지엄서 정부·학계 등 식량안보 논의
국내 식량안보 파수꾼 역할 담당 ‘식량·식품 종합 콤비나트’
"새만금 최적지…항만·배후부지 확보 용이·식품산업 인프라 갖춰"
국내 곡물자급률이 20%(식량자급률 45.8%)에 머무는 등 식량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만금을 활용한 국가 식량 생산·가공·유통 기지로 ‘식량·식품 종합 콤비나트’를 조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20일 서울 aT센터에서 농림축산식품부·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과 함께 국내 식량안보와 농수산식품산업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대한민국 식량안보 심포지엄’에서 제기됐다.
심포지엄에서는 식량안보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토대 마련의 시급성과 민간기업의 해외 농업개발, 곡물 유통망 확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지원 강화를 통한 해외 곡물의 안정적 조달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에그테크·푸드테크·바이오테크 등 첨단기술 산업을 적극 육성해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전략도 제안됐다.
특히 유사시 비축기지로 국내 식량안보의 파수꾼 역할을 할 수 있는 ‘식량·식품 종합 콤비나트’ 조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식량·식품 종합 콤비나트’를 활용하면 국내 식량안보 확보는 물론 유리한 입지 조건의 이점을 살려 일본·중국·아세안 등 주변국에 식량과 가공식품 등을 공급하는 ‘동북아 식량·식품 수출 허브’로 발돋움해 미래 대한민국 농수산식품 수출 1000억 달러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콤비나트는 생산과정에서 상호 보완적인 공장이나 기업을 한 지역에 모아 놓은 기업집단을 말한다.
‘식량·식품 종합 콤비나트’의 입지로는 새만금이 최적지로 꼽혔다.
새만금은 지정학적 여건과 함께 항만·배후부지 확보, 농산물 생산·저장·가공수요, 식품산업 연계 및 탄소세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적 수출확대 등의 장점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기존 국내 양곡부두는 노후화 및 항만 인근 도시화로 배후부지 개발이 어려운 반면 새만금은 항만 연계 배후산업이 입지할 수 있는 부지확보가 쉽고, 인근에 국가식품클러스터와 농진청·한국식품연구원·한국농수산대학 등 우수한 식품산업 인프라가 인접해 동반성장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도 논의됐다.
1단계로 새만금 신항 개발 계획에 벌크전용 양곡부두와 배후부지 청사진에 곡물비축시설 건설계획을 반영하고, 2단계로 공공 식량비축시설 및 식품 가공 콤비나트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김춘진 aT사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대한민국 식량안보를 굳건히 하는 출발점으로서 의미가 있다”면서 “공사는 국민의 안정적인 먹거리 공급을 책임지는 기관으로써 국가 식량·식품 종합가공 콤비나트 설립 등 공사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