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철저한 관리·감독으로 농협과 수협, 산림조합을 이끌 참신하고 능력있는 리더를 뽑았으면 한다. 특히 선거가 막바지로 갈수록 과열 혼탁해지고 있어 막판 금품살포를 막아 공명정대하게 치렀으면 한다.
이번 3·8 조합장선거는 전국 1347개 단위조합에서 실시되며 평균 2.3대 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전북에서는 111개 조합의 조합장을 선출하는데 253명의 후보가 등록해 전국 경쟁률과 같다. 조합별로는 농·축협 219명, 산림조합 28명, 수협 6명이 뛰고 있다. 이중 단일후보가 등록해 무투표 당선된 조합은 농협 14곳, 산림조합 5곳, 수협 2곳 등 21곳이다.
조합장선거는 2005년부터 선거사무를 선관위에 위탁하고 2015년부터 전국 동시 선거로 치르고 있다. 위탁 이전에 비해 나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금품살포 등 불법행위가 여전하다. 내용이 고무신과 막걸리에서 돈봉투로 바뀌었을 뿐이다. 지난달 23일 선거운동이 시작된 이후 전북에서는 20여건의 금품 제공과 선거법 위반 사례가 적발됐고 40여명이 경찰수사를 받고 있다.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지난달 17일에는 전주김제완주축협 앞에 ‘금품(홍어 등)을 받은 조합원은 자수하여 과태료를 감경·면제받기 바랍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 시민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전북선관위에 따르면 20여명이 “홍어를 받았다”며 자수했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이 무슨 망신살인가. 선거 현장에는 50당 70락(조합원당 50만원 쓰면 떨어지고 70만원 쓰면 당선)이라는 말이 나돌고 있다. 경북의 경우 현금을 받은 조합원이 구체적인 범죄사실과 받은 돈을 선관위에 제출해 1억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이처럼 돈 선거의 망령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조합장선거는 시장군수를 뽑는 지방선거 못지않게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현장이다. 하지만 조합장의 권한이 막강한데 비해 유권자가 적고 각종 인연으로 얽혀 있어 돈을 쓰면 바로 효과가 나타나는 구조다. 그렇다고 해서 돈으로 당선된 조합장이 제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보라. 당연히 본전을 뽑으려 할 게 아닌가. 그렇게 되면 조합은 안으로부터 썩게 마련이다. 결국 손해는 조합원이 볼 수밖에 없다.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