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역사문화 유산의 보고다. 마한과 백제·후백제를 기반으로 고구려 신라 가야의 문화를 꽃피워 어느 지역보다 유물유적이 다양하다. 이처럼 다양한 역사문화 유적은 역사 자체에 그치지 않고 각종 콘텐츠 개발과 관광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산업화를 통해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귀한 자원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관리하고 기획하는 전문 학예인력이 태부족이라니 걱정이다.
우선 전국적으로 보자. 지난해 10월 문화재청이 국회에 제출한 '기초지방자치단체별 문화재 업무종사 공무원 현황'에 따르면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중에서 문화재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모두 1497명이다. 이중 학예직은 17.3%인 259명에 불과하다. 또 이들 가운데 정규 학예직은 11.6%인 174명이며 나머지는 시간제와 임기제다.
전북지역의 경우는 더 초라하다. 도내 14개 시군의 학예인력은 30명에 불과하고 이들 중 80%인 24명이 임기제다. 이들이 도내에 산재하는 국가 325건, 도 692건 등 1017건의 지정문화재를 담당하고 있다. 특히 지역별로는 남원시가 129건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전주시 126건인데 이들 지역은 정규직이 1명도 없다.
이들이 기존 업무와 함께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북 동부의 가야문화재, 역사문화권특별법에 들어간 마한과 후백제문화재, 그리고 전라유학진흥원 건립 등을 맡고 있다. 여기에 생활문화재, 무형문화재까지 관리 범주에 들어가 업무가 폭증하는 상황이다. 몇가지를 주문하고자 한다.
첫째, 학예인력의 확충과 처우 개선이다. 도내 학예인력은 인원도 적은데다 직급도 낮다. 해마다 관리해야 할 문화재는 늘어나는 반면 임시직으로 신분이 불안하고 처우도 형편없는데 누가 성의껏 일을 하겠는가. 둘째, 전공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문화재 발굴과 보존관리에는 문헌사학과 고고학 등 역사전공자가 중심이 되겠지만 인류학, 민속학, 미술사, 기획전시 등 다양한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역량강화 교육이다. 워크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문화재가 곧 지역의 경쟁력인 시대다. 전북이 비록 산업화에는 뒤졌지만 역사문화자원은 어느 곳에 못지 않아 이를 활용해야 한다. 전문인력 확보와 예산지원에 인색해선 안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