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6:5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동물병원 고무줄 진료비 전면 개편을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 시대를 맞고있다. 그런데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 부담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동물병원 진료비다. 심한 경우 사람이 번듯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 보다 훨씬 부담이 되는 경우도 많다. 한국소비자연맹이 2021년 동물병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동물병원 이용 실태조사' 결과, 10명 중 8명(82.9%)이 반려동물 진료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쉽게 말해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동물병원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봉쓰는 느낌을 떨치기 어렵다는 것이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3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반려가구의 치료비 지출 규모는 78만7,000원으로 2년 전보다 68.2%나 늘었다고 한다. 결론은 동물병원 진료비 인하를 위한 투명한 정책이 시행돼야만 반려가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시행중인 동물병원 진료비 부가가치세 면제와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은 이를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하지만 반려동물 진료비 실태는 그야말로 주먹구구식이다. 일례로 전국 국립대 동물병원 진료비도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안민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오산)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9개 국립대 동물병원 입원비 및 초진비 현황'에 따르면, 초진 진찰료 가격 차이가 최대 5배 이상이었다. 1일 기준 입원비 역시 소형견 기준 충남대병원이 5만원, 경상국립대는 15만원으로 최저가와 최고가가 3배 차이가 났다. 동물병원 진료비 공시제가 시행됐다고 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정확한 진료비를 알기 힘들어 반려가구의 불만은 폭발 직전이다. 상당수 동물병원에서는 필수 게시항목을 공개하지 않고, 공개시스템에서도 병원별 세부 진료비를 확인할 수 없어 적극적인 행정지도와 단속이 절실하다. 도내 2인 이상의 수의사가 근무하는 동물병원 200여 개소 중 상당수가 필수 게시항목을 공시하지 않거나 병원마다 게시항목을 달리 표시해 병원 간 가격비교가 어렵다고 한다. 지자체 단속도 전체 동물병원 중 30%에 그치고 있다. 진찰 후 결정된 입원비가 생각보다 높게 나와서 당황하는 이들이 많은게 엄연한 현실이다. 동물병원간 의료정보 공유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기에 경우에 따라서는 진료비를 두 배로 내야만 한다. 반려가구는 더 이상 봉이 아니다. 이를위한 강력한 정책이 펼쳐져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물병원 고무줄 진료비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