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축제의 계절이다. 코로나로 그간 멈춰있던 행사들이 재개한다. 그 속에서 사람들은 답답함과 지루함을 스트레스와 함께 저 멀리 던져버리는 것처럼 보인다.
전북에서도 많은 축제가 개최되었다. 임실N치즈축제, 김제 지평선축제, 전주비빔밥축제, 정읍구절초축제, 완주와일드앤로컬푸드축제...... 주말마다 어디를 가야할지 고민해야 할 정도로 지역 곳곳은 축제로 물들었다.
공교롭게도 필자는 축제 조사 과업으로 주말마다 축제에 가야 했다. 좋겠다고 부러워하는 이도 있었다. 그러나 누가 축제는 즐거운 것이라고 했는가. 필자가 겪은 축제는 전혀 그렇지 못했다. 아니, 오히려 참상에 가까웠다.
축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하고, 경제적 효과를 창출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그 모든 것이 철저히 ’인간‘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비인간동물은 인간을 위한 축제에서 상품이나 서비스가 되어 돈을 벌어다 줬지만, 그들은 이익은커녕 보상조차 받지 못했다. 하나의 생명체로 존중되지 못하고 도구로 전락해 물건으로 매매되며, 이리저리 이용되다가 축제가 끝나면 같이 ’끝‘이 난다.
완주와일드앤로컬푸드축제를 들여다보자. 시랑천에서 맨손 물고기 잡기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완주에서 ’물살이‘(물고기를 식용의 대상이 아닌 생명체로 부르기 위함)를 자체적으로 공급하지 못해 외부에서 양식용 송어 5,000마리를 데려왔다. 대량의 인간들이 송어를 잡아 죽이기 위해 물 속을 헤집자면, 송어는 더 이상 나아갈 곳도, 숨을 곳도 없는데 물가의 가장 경계 부분으로 피가 나도록 파고든다. 화천 산천어 축제와 진배없다. 동물 학대로 뭇매를 맞았던 축제이다.
한 쪽에서는 ’송어‘가 ’메뚜기‘로 이름만 바뀌어서 진행된다. 인간에게 잡힌 메뚜기는 강아지풀로 몸통을 관통 당하고 산채로 불에 달궈진다. 죽음의 참상 앞에서 사람들은 웃는다. 생명을 경시하고 전리품처럼 취하여 죽이는 방식이 진정한 ‘와일드’일까? 우리는 관습을 깨고, 서로 공생하는 새로운 방식으로의 ‘와일드’를 상상할 수는 없는 것일까?
임실N치즈축제에서는 홀스타인 소를 옴짝달싹 못하게 가두어놓고 젖을 짜는 체험이 진행됐다. 상상해 보시라. 내가 만약 소라면, 다른 종들에게 전시되어 자유의지를 박탈당한 채 신체 일부를 내어줘야 한다면, 모아름드리라는 고유의 이름도 잊힌 채 ‘젖인간‘이라는 기능으로만 불리게 된다면.
김제 지평선 축제 말타기 체험 역시 마찬가지다. 부족한 상상력은 지평선의 아름다움을 즐기는데 뜬금없는 말타기 체험을 탄생시켰고 누군가를 착취해서 남는 즐거움이 얼마나 오래갈지 물음을 남기게 된다.
동물 학대를 자행하는 축제는 추켜올릴 만하지 않다.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가 없다는 반증이며, 감수성이 부족한 기획은 많은 사람들의 공감대를 끌어내지 못하고 결국 지속가능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생명을 무차별적으로 잡고 죽여도 된다고 허용하는 어른들의 관점은 그대로 미래세대까지 답습된다. 무서운 일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축제에서 어떤 상상을 해야 할까? 최근 정읍시는 내년부터 소싸움 행사를 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간 전통이란 미명하에 이루어진 동물 착취 행사를 이제라도 중단하겠단 정읍시의 결단을 지지한다. 그 자리엔 비인간동물을 소비하지 않는 적절한 콘텐츠가 채워질 것이다. 아마 그 작업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늘 보고 겪은 것은 동물 착취뿐이니까.
그럴수록 더욱 상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어떤 축제가 윤리적이고 지속가능할지 상상할 때, 축제는 새로 쓰일 수 있다. 생명들의 피로 쓰인 축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모아름드리 환경단체 프리데코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