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잼버리 실패의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와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장관과 국회의원이 자리만 꿰찼지, 책임 회피에 급급한 모습을 보인 공동위원장 5인 체제가 오버랩 되는 순간이다. 물론 대규모 국제 행사인 만큼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그보다는 컨트롤 타워 혼선을 직접적인 파행 배경으로 꼽았다. 세계스카우트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급조된 공동위원장 5인 체제는 정부의 지나친 개입과도 일맥상통 한다. 그러나 스카우트위원회가 책임 떠넘기기를 위해 한국 정부 탓으로 몰아세웠다며 정부가 반박 함에 따라 책임 공방이 불거지기도 했다. 전북은 대회 개최지란 이유로 파행 책임의 덤터기를 쓴 것도 모자라 새만금 예산 삭감의 고통을 겪으면서 지금도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처럼 호되게 곤욕을 치르면서 체득한 ‘학습 효과’ 는 뉴 노멀 대회 준비에 있어 패러다임을 바꿔 놓았다. 유관기관, 사회단체, 공무원들도 이런 문제 의식에 경각심을 갖고 재발 방지책 마련에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잼버리 후폭풍을 딛고 어렵게 유치한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는 명예 회복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일명 한상대회로 불리며 10월 22일부터 사흘간 전북대 일원에서 국내외 경제인 4천여 명이 참가하는 글로벌 경제네크워크다. 사전 점검을 위해 각국 준비단이 속속 입국하며 대회 홍보에 열을 올리는 분위기다. 경제효과만 무려 335억이 기대되는 것은 물론 전북 제품을 해외 시장에 알릴 수 있는 만남의 장인 셈이다.
그런 상황에서 가끔 잼버리 트라우마를 겪어서인지 노파심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잼버리 파행의 원인으로 지적한 공동위원장 체제와 비슷한 한상대회 공동대회장에 각국 한인회장 4명이 임명돼 활동하고 있다. 실무적인 것보다는 참가 단체 유치에 주력하도록 역할 분담을 했다는 것, 실제 몇 개 경제단체가 참가 하느냐에 따라 대회 성패가 좌우되는 만큼 이들의 역할은 잼버리와는 판이하다는 것이다. 실무 총괄 사무국 역시 재외동포청과 전북도, 전주시 직원들로 구성돼 전문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잼버리 당시에도 스카우트 대원과 크게 엮이지 않는 여성가족부와 전북도, 부안군이 조직위에 투입된 사실을 되새기게 한다.
요약해 보면, 파견 공무원은 행정 지원에만 국한하고 실무적 전시 회의 준비는 전문가 그룹과 역할 분담을 하라는 의미다. 유명세 있는 조직위원장과 함께 전문성 없는 공무원 차출의 기존 패턴은 실익이 적다는 것이다. 잼버리 때마다 무더위, 침수를 비롯해 병해충, 안전 등은 논란의 단골 메뉴였다. 문제는 이 같이 예견된 상황에서 충분히 대처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는 것, 한상대회도 갑자기 장소가 바뀌고 기본 인프라가 부족한 가운데 유치한 만큼 돌 다리도 두들겨 봐야 한다. 김영곤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