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이면 전북 인구가 145만명으로 줄어든다는 암울한 통계조사가 발표됐다. 한때 252만명까지 늘었던데 비하면 거의 반토막이 나는 셈이다. 인구가 줄면 일할 사람이 감소하고, 반면에 고령인구 비율은 높아져 복지비용이 늘어난다. 결국에는 지방 소멸로 이어진다. 이같은 추세는 전국적이어서 지방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정부에만 미루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전북특자도를 비롯해 시군들도 지역차원에서 대책 마련을 서둘렀으면 한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추계(2022∼2052년)'에 따르면 2022년 178만명이었던 전북 인구는 2052년 145만명으로 18.4%인 33만명이 감소할 전망이다. 이 같은 인구 감소로 전북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도 2022년 3.4%에서 2052년 3.1%로 0.3%p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세웠을 때 한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은 2022년 48.3세에서 2052년 62.8세로 높아진다. 이는 곧 전북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인으로 채워진다는 뜻이다.
문제는 이 같은 고령화와 함께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급속히 줄어들어 일할 사람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전북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119만명에서 2052년 67만명으로 43.4%인 52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2052년에는 생산연령인구가 고령인구보다 1만명 적은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인구 감소에도 수도권 집중은 오히려 심화돼 지방과의 불균형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구문제는 국가가 나서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올 들어 1분기(1-3월)에 0.76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아 심각한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달 초 기자회견에서 “국가 비상사태라고 할 수 있는 저출생을 극복하기 위해 저출생대응기획부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맡도록 해서, 교육·노동·복지를 아우르는 정책을 수립하고, 단순한 복지정책 차원을 넘어 국가 아젠다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북특자도와 시군들도 출산·육아 지원뿐 아니라 지자체 차원의 이민정책 등 인구문제를 다각도로 접근했으면 한다. 이대로 있다간 지자체도 해체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