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부안군에서 발생한 4.8 규모의 지진으로 전북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이 증명됐다. 신속한 복구와 각종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새만금지역의 지질 정밀조사는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새만금지역은 이번 지진이 발생한 부안과 접해 있는데다 매립지 특성상 지반이 연약하기 때문이다. 이곳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엄청난 피해가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이번 지진 발생으로 600여 건의 피해 신고와 각종 행사가 취소됐다. 13일부터 16일까지 부안군 격포항에서 열린 제9회 새만금컵 국제요트대회가 개막 이틀만에 전격 취소됐다. 이번 대회는 15개국 2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아시안컵과 겸해 치러지고 있었다. 또 부안예술회관에서 15일 개최하려던 팜페라 가수 ‘폴 포츠’ 내한공연도 현장 입장을 취소하고 유튜브를 통해 선보였다.
전북은 2019년 실시한 전국 지진 영향성 분석에서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돼 제외되었다. 하지만 이번 부안 지진에서 보듯 언제라도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이다. 그 중 새만금은 바로 인접해 있어 단단한 대비가 필요하다. 새만금지역은 총면적 409㎢로 서울 면적의 2/3 규모에 이른다. 이 지역 상당부분이 매립지여서 지진 위험도가 주목된다. 매립지의 특성상 포항보다도 지반이 연약하다. 인근에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이어지는 활성단층의 존재도 조사됐다. 또 새만금의 매립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도 불투명하다. 실제로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98건 중 군산 31건, 부안 22건, 김제 2건 등 58.2%인 55건이 새만금 인근지역에서 발생했다.
새만금지역은 수변도시, 관광레저, 산업, 농생명 등 다양한 구성과 새만금신항만, 국제공항, 고속도로, 남북·동서도로, 인입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이 밀집된 지역이다. 최근 들어 산업단지는 이차전지 공장 등 대규모 기업들이 몰려들고 있어 더욱 안전점검 필요성이 높다. 지반의 단층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그 위에 건물을 짓는다면 건물 자체에 내진 설계가 아무리 견고하게 이뤄진다 해도 효과가 없다. 새만금 방조제는 규모 6.5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돼 있다고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조속히 지진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해 도민과 기업들이 안심할 수 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