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6:52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 전주가 정답이다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유치가 막바지에 이르렀다. 국가유산청이 지난달 27일 현장실사를 다녀갔고, 현장실사에서 보완요청한 내용을 종합한 프리젠테이션 발표가 남아 있다고 한다. 센터는 후백제의 역사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연구·전시하는 총괄 기구다. 전체 사업비는 450억 원가량이며 2030년 개관을 목표로 전액 국비가 투자된다. 국가유산청은 센터 건립을 위해 지난달 초, 건립 후보지 공모를 실시했으며 전주시와 함께 광주시, 당진시 등 4곳이 응모했다. 현재 2주간에 걸쳐 서면심사 등 사전평가를 거쳐 전주와 광주 2곳으로 압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결론부터 말하면 센터 건립의 적지는 전주다. 전주 이외에 또 어디가 있단 말인가. 후백제 왕도였던 전주는 누가 봐도 건립의 적지(適地)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입김이 작용하는 듯 하다. 그러나 결과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일 것으로 믿는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건립은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것이다. 2020년 6월에 제정된 이 법은 제1조에서 우리나라 고대역사문화권을 발굴·복원하고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당시 고대 역사문화권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가 들어 있었고 이어 중원과 예맥문화권이 포함되었다. 후백제는 빠져 있었는데 전주지역 시민단체와 학계, 정치권이 힘을 합해 2022년 말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둘째, 전주는 후백제 역사 45년 중 900-936년, 37년간 수도였다. 전주와 전북을 중심으로 광주·전남과 영남, 충청을 아우르며 고구려 땅까지도 회복하고자 노력한 왕조였다. 또 지금까지 밝혀진 후백제 유적 128개소 가운데 전주 35개소 등 전북에 70%인 89개소가 밀집돼 있다. 센터가 역사문화자원이 가장 많이 밀집한 곳에 세워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셋째, 2021년부터 전주시를 중심으로 문경시, 상주시, 논산시와 전북지역 4개 시군 등 7개 시군이 후백제문화권지방정부협의회를 만들어 발굴과 보존 등에 힘을 기울였다. 그동안 뒷짐지고 있다 밥상이 차려지니 숟가락 들고 뛰어드는 행태는 너무 파렴치하다. 국가유산청은 정치적 입김을 배제하고 냉정하게 판단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후백제역사문화센터 #전주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