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총 수렵도, 페르시아 사냥도에서 나왔나
중국 길림성 집안(集安)현 통구(通溝)에 위치한 고분 널방에 그려진 고구려인이 사냥을 벌이는 장면을 묘사한 무용총(舞踊塚) 수렵도. 특히 몸을 돌려 활을 쏘는 소위 '파르티안 샷(parthian shot)'은 활쏘기와 승마에 능한 고구려인의 기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새로운 해석이 제기되었다. 사냥도가 무용총 외에 덕흥리(德興里)고분, 약수리(藥水里)고분, 장천1호분(長川一號墳) 등 여러 무덤에 그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거주 이란계 민족인 소그드(Sogd)인 석관상(石棺床)과 한대(漢代) 화상석(画像石)에까지 일관되게 나타나 있어 천국으로 가는 길에 맞닥뜨리는 사악한 존재를 물리치는 주술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주장이 대두된 것이다. 이는 이른 바 ‘사냥 마법론(hunting magic theory)’으로 페르시아의 사냥 도상이 사자나 맹수를 사냥하는 국왕의 영웅적 면모와 함께 천국으로 향하는 길에서 거치는 영적 투쟁을 내포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주술적 의미가 실크로드를 통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고구려까지 이르렀다는 것인데 과연 사실일까?
△ 페르시아 사냥 도상의 주술적 의미와 그 기원
페르시아 사냥 도상의 주술적 의미는 조로아스터교의 종교적 세계관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 즉 조로아스터교의 선신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와 악신 안그라 마이뉴(Angra Mainyu) 사이의 대립 구도는 사냥 도상의 상징적 의미를 형성하는 근간이다. 특히 사악한 동물들은 악신의 창조물로 여겨졌기에, 이들을 퇴치하는 사냥 행위는 곧 선의 승리를 의미했다.
이러한 종교적 의미는 정치적 상징성과 결합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아케메네스(Achaemenid) 왕조 시기부터 '왕의 사냥'은 통치자의 권위와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도상이었다. 타크이 부스탄(Taq-i Bustan) 암벽의 사냥도 부조에서 볼 수 있듯이, 맹수를 사냥하는 왕의 모습은 그의 영웅적 면모와 신성한 권위를 동시에 표현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사냥 도상이 현세와 내세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사후 영혼이 친바트 다리(Chinvat Bridge)를 건너 천국에 도달한다고 믿었는데, 이 과정에서 영혼은 여러 악마적 존재들과 맞닥뜨리게 된다. 사냥 도상은 바로 이러한 영적 투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 페르시아 사냥도: 이란계 소그드인 무덤에 적극 도입
특히 사산조(Sasanian Empire, AD 224-651) 시기에 이르러 이러한 도상 전통은 더욱 체계화되었다. 왕실 사냥 장면을 새긴 정교한 은제 접시들이 제작되어 널리 퍼졌는데, 이는 단순한 장식품이 아닌 실제 의례적 의미를 지닌 물품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페르시아의 사냥 도상 전통은 실크로드를 따라 동쪽으로 전파되었다. 특히 소그드 상인들은 이 전통을 자신들의 무덤 미술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는데, 사군묘(史君墓), 우홍묘(虞弘墓), 안가묘(安伽墓), 일본 미호(Miho)박물관과 프랑스 기메(Guimet)박물관 석관상 등에 그려진 사냥도는 페르시아 도상의 주술적 의미가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결과적으로 페르시아의 사냥 도상은 단순한 예술적 표현을 넘어, 종교적 신념, 정치적 권위 그리고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이 복합적으로 녹아든 문화적 산물이었다. 이러한 복합적 성격이 바로 이 도상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이었던 것이다.
△ 한화상석(漢畫像石)의 사냥 주술
중국과 이란의 교류는 파르티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나라(BC 250-AD 224) 황제와 파르티아(BC 206-AD 220)의 미트리다테스(Mithridates) 2세 사이의 사절단 교환은 두 문명 간교류의 시작점이었다. 사마천(司馬遷)은 <대완열전(大宛列傳>에서 “한나라의 사신들이 귀국하기로 결정했을 때, (파르티아 왕은) 자신의 사신들을 함께 보내어 중국이 얼마나 크고 광대한지 직접 보게 했다. 파르티아 사신들은 큰 새의 알과 여헌(黎軒, 알렉산드리아)에서 모집한 곡예사들을 황제에게 선물로 가져왔다. 황제는 이를 매우 기뻐했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접촉은 점차 확대되어 사냥 모티프를 포함한 것들이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특히 파르티안 샷을 모방하여 사냥 장면을 묘사했다. 이러한 융합의 사례는 많은 한화상석에 나타나며 그중 섬서(陝西)성의 흉노 고분인 선무(神木)의 대보당(大保當) 한화상석에서 뚜렷이 확인된다. 대보당 화상석 도상은 천국에 도달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길이 악령들과 야생 동물들로 가득 차 있으며, 원 안의 새 문양은 영원한 천국으로 가는 길의 또 다른 상징이다.
△ ‘사냥 마법’의 실크로드 전파
사냥 마법 이론은 1940년대에 프랑스의 고고학자 앙리 브뢰유(Henri Breuil)가 프랑스 남서부의 라스코(Lascaux) 동굴 벽화를 분석하기 위해 처음 제시했다. 이 이론은 동굴 벽화가 사냥의 성공을 위한 일종의 의례적 주술이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소그드인 석관상과 한화상석 그리고 돈황 벽화에 보이는 파르티안 스타일의 사냥 장면에서 주술적 의미를 추출한 후 실크로드를 따라 동쪽으로 전파되었다고 주장하여 고구려 벽화 수렵도를 새롭게 해석할 단초를 제공한 학자는 이란 이스파한(Isfahan) 대학의 하미드 레자 파샤자누스(Hamid Reza Pashazanus) 교수와 미국 코스탈 캐롤라이나(Coastal Carolina) 대학의 레슬리 월러스(Leslie Wallace) 교수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무용총 등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사냥 도상은 고인이 천국에 도달하기 위해 싸워야 했던 이 세상과 저 세상 사이의 험난한 여정을 상징한다.
전홍철 교수(우석대 경영학부·예술경영)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