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에서 태어난 내가 처음 동물병원을 개원한 도시는 전주다. 애견문화(요즘은 반려문화)를 새로 정립하는 데 힘썼다.
그러다가 한계를 느꼈다. 전북을 넘어 우리나라 전체에 메시지를 전해야겠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전주 병원을 접고 1985년 서울로 간 이유다.
그 무렵 서울 지역 동물병원은 100곳 미만이었다. 지금은 1000군데, 전국적으로는 5000곳에 육박한다.
당시 동물병원의 환경은 열악했다. 동물병원이 아닌 ‘가축병원’ 간판이 흔한 시절이다. 중구 필동에 자리를 잡은 나는 개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병원을 표방했다. 그때만 해도 고양이는 드물었다.
지연도 학연도 없는 타향살이, 나는 이를 악물었다. 혼신을 다하는 수술과 치료 틈틈이 방송사와 신문사의 문을 두드렸다. 현대인의 정서에 애완견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전도사처럼 설파했다. 심상사성(心想事成)이었다. 간절히 바라니 이루어졌다.
동물 관련 TV프로그램 사회자 옆에 서는 일이 잦아졌다. 역시 동물 관련 신문 기사 중 전문가 코멘트는 어느 순간부터 내 몫이 되다시피 했다. 동물 칼럼 연재는 덤이었다.
‘매스컴을 타니’ 개와 주인들이 내 병원으로 몰려들었다. 끼니를 걸러가며 하루 34마리를 수술하기도 했다. 그렇게 물이 들어왔지만 나는 노를 젓지 않았다. 타 병원들의 비난을 감수하며 파격적인 수가로 아픈 동물들을 치료했다.
그 와중에 심각한 텃세에도 시달렸다. 치러야 할 유명세로 치부하기에는 ‘안티’ 세력의 가짜뉴스는 도를 지나쳤다. 동물약을 싸게 팔고, 또 이를 적극 홍보하는 내가 못마땅한 이들이 많았다. 심지어 내 신앙까지 걸고 넘어졌다.
‘세계적인 권위의 수의사는 자기 광고를 합리화하기 위해 신성한 종교를 이용하고 예수님을 팔고 있다. 정상적인 기독교인이라면 이렇게 하겠는가. 소문이 언론에 나가면 세계적인 망신거리 톱뉴스가 될 것’이라고 비아냥댔다.
인내심에 한계가 왔다. 사필귀정, 법은 내 손을 들어줬다. 명예를 훼손 받고 모욕을 당했다는 사실을 법원이 확인했다.
나는 철저히 ‘내돈내산’ 원칙을 지켰다.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에서 애완동물사진촬영대회를 매년 열었다. 김대중 대통령, 개그맨 이경규씨, 영화배우 김혜수씨 등 유명인들의 동물사랑 사연을 널리 알렸다.
내 책 ‘개를 무서워하는 수의사’를 읽은 어린이신문 독자들은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나를 지명, 팬레터를 보냈다. 그 아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내 이름에 꽂혀 수의대로 진학했다.
외화내빈을 경계한다. 모든 것의 바탕에는 실력이 있어야 한다. 나는 코로나바이러스, 케널코프 따위 질환의 심각성을 외쳤다. 종합예방접종(DHPPL) 한 방이면 그만이던 관행이 어느덧 교정됐다. 심장사상충의 위험을 공론화한 것 또한 나다.
내가 고쳐주는 개는 대개 서양품종이다. 되돌릴 수 없는 현상이다. 실내에서 키우기에 적당한 사이즈들이다. 토종은 대부분 중개다. 나는 이들 한국견도 챙긴다.
진돗개, 삽살개, 동경이(댕견), 불개, 제주개, 그리고 오수개 등 국산이라면 예외없이 개입해 있다. 심지어 북의 풍산개 연구서까지 냈다. 이 책은 과거 정부를 통해 북측 권력자에게도 전달됐다.
그리고, 지나친 동물 의인화를 나는 반대한다. 사람이 동물을 모신다는 것은 본말전도다. 사람을 위한 동물보호가 우선이다. 그래야 상생할 수 있다.
△윤신근 원장은 전북대 수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한국동물보호연구회'를 설립해 동물 질병에 대한 연구와 '동물권' 확립에 앞장서 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