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전라도의 수도로!’ 민선 8기 전주시가 야심차게 내건 슬로건이다. 그런데 전북 제1의 도시 전주가 좀처럼 재도약의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더 쪼그라들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인구 유출이 계속되면서 이제는 60만 인구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호남의 으뜸도시라는 뜻의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이라는 별칭이 무색해졌고, 시민들의 자존감도 떨어졌다. 특단의 대책이 없을 경우 전주는 인구 100만의 광역 거점도시는커녕 지역 거점도시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미래도 밝지 않다. 우선 향후 인구증가 요인을 찾기 어렵다. 그동안에는 주변 시·군에서 유입된 인구로 소폭이나마 인구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이제는 인근 지역에서 들어올 수 있는 인구 자체가 없다. 결국 인구 감소 요인만 남은 셈이다. 최근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되면서 국비지원으로 그동안 구상해온 각종 현안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지만, 여전히 전통문화와 한옥마을을 앞세우는 관광도시 이상의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전주와 연관된 대형 공약사업도 찾아보기 어렵고, 거점도시의 필수조건인 주변 도시 연계 상생발전 전략도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전주 중심의 발전 담론을 경계하는 지역정치권의 태도에도 원인이 있다.
전주는 전형적인 베드타운(bed town)이다. 전주를 거점으로 생활인구가 전북 전역에 퍼져 있는 만큼 이와 연계한 발전 담론으로 다른 시·군과 동반성장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역시 ‘양질의 일자리’다. 그런데 거주도시·소비도시로 고착된 전주는 대규모 산단이 적어 대기업을 유치하는 데 한계가 있다. 주변 도시와의 협력을 통한 연계발전 전략이 절실하다.
전주의 위기는 곧 전북의 위기다. 전주가 지역 거점도시로서의 위상과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면 인근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도 급격하게 붕괴될 수밖에 없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난 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올해는 그동안 그려온 지역발전 청사진을 착실하게 추진해 가시적인 성과와 변화를 보여주겠다’고 했다. 전북의 재도약,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새해 지역 거점도시 전주의 큰 걸음을 기대한다. 을사년, 지역사회 가장 큰 이슈로 부상한 전주·완주 통합도 거점도시의 위상 확립, 전북의 활로 찾기 차원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