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는 소리, 경상도는 춤’, 동의 할 수 없다
‘전라도는 소리, 경상도는 춤’이란다. 상징적인 표현이긴 하겠으나 동의할 수 없다. 역사성과 문화인류학적 입장을 차치하고, 뒤적여 보니 복합적인 요인 중에서도 생태 민속학적 측면에서 공통점이 먼저 눈에 띄었다. 지형적으로 소백산맥을 사이에 두고 백두대간의 산악지대가 많은 경상도 기질과 넓은 평야 지대가 많은 전라도 춤은 지리 환경적 요인으로 차이가 있지만, 춤 정신과 철학이 다르진 않다. 다만 문화와 예술은 교류하고 섞이면서 발전해 가는 것이라는 점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둔다면 ‘전라도는 소리, 경상도는 춤’이라는 단정적 명제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지 알게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경상도는 악성 우륵이 창제했다는 가야지무를 포함, 한기무, 미지무, 대금무가 있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한다. 그뿐만 아니라 황창무와 처용무, 상염무, 무애무, 오기 등 남성춤도 있었다고 전하며, 도솔가무 등 민간 생활과 밀접한 놀이춤도 있었다. 그래서 영남이 춤이 발달했다는 말인가. 전라도 춤을 살펴보자. 전라도 춤은 마한과 백제로 이어지며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농경 민속을 비롯하여 농악과 강강술래 같은 소리춤이 농경문화와 함께 예술적 완성도를 높여 왔다. 이병옥 용인대 명예교수에 의하면 춤과 음악은 밀접한 관계로 음악적 풍속이 곧 춤 풍속이 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단다. 따라서 음악 문화권은 곧 춤 문화권을 가르는 요인 중의 하나로, 일반적인 민요문화권은 소리춤 영역의 중요한 문화권이 된다. 춤과 관련해 중요한 문화권으로 시나위음악권이 있는데 시나위는 전라도 무속 반주음악에서 비롯한 명칭이다. 중요한 것은 이 음악이 곧 무속춤과 예인춤의 춤반주에 있어 절대적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전라도는 판소리가 발달했고, 민요는 육자배기조이며, 소리춤은 더할 나위 없다. 농악은 더 발달하였고 무속은 굿을 하는데 춤이 부수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래서 소리와 기악 선율문화가 뛰어나게 발달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춤이 저평가된 착시현상이 있다. 전북의 현대춤과 발레의 역사도 깊다. 이시이바쿠와 최승희의 제자인 김미화를 전북 ‘창작춤 효시’로 본다. 한국 현대춤의 거목인 육완순도 초등학생 때부터 무용의 꿈을 키워 미국의 현대춤을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해 공적을 남겼다. 한국발레계의 대부 임성남은 전주사범학교 시절 발레를 시작해 일본 유학 시절 핫도리 시마다에게서 발레를 배워 서울에서 활동했다. 전북에서 한국춤, 현대춤, 발레 등 여러 장르에서 걸출한 춤 명인들이 많이 배출된 배경으로 조선시대 전라도 교방에는 수많은 관기와 악공들을 비롯한 풍류객들이 존재했고, 지역춤과 소리 문화의 인프라가 오랜 역사 속에 형성돼 왔다는 것과 무관치 않으리라. 또한 조선시대 전라도와 제주를 아우르는 정치·문화·예술의 중심지인 전라감영과 전주부가 있던 곳으로 ‘전주대사습놀이’로 인해 조선시대 최고의 예술가들이 모이던 고장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전주대사습에서 장원을 받은 명창명인들은 어전 명창의 명예를 얻었고, 벼슬을 제수받는 예도 있었기에 예술가들에게는 신분 상승의 기회이자, 노력에 따라 명예로운 삶을 선택할 수 있는 문화적 풍토가 조성돼 있었다는 것이다. 어쨌든 ‘가무악일체’를 이해한다면 ‘전라도는 소리, 경상도는 춤’이라는 명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춤과 소리도 당연하다. 그래서 전라도는 춤과 소리가 넘쳐나는 우리네 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