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대전환 시대, 주소(住所)로 연결된 세상
바야흐로 작금의 시대는 넘쳐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혁신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다. 이에 따라 새 정부에서도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축을 위해 관련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국정 운영의 우선 과제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하루에도 수없이 만들어지는 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이해하고, 서로 다른 성격의 데이터를 융합·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생성해 내는 일이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체가 다르다 보니, 데이터의 형식과 내용에 일관성이 없다는 거다. 이처럼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주체가 만든 것처럼, 끊김 없이 연결해 줄 수는 없을까?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사이버물리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파편화된 플랫폼들을 상호 연결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상호운용중심점(PPI)을 정의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인을 식별해 주는 PPI의 대표적인 사례는 주민등록번호이다. 그렇다면 사람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에 대한 PPI는 무엇일까? 바로 주소다. 이제 주소는 가상과 현실 세계를 연결하고, 파편화된 정보를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기준으로 연결하는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주소정보 기반의 데이터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소정보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상이 오면 어떤 일들이 가능해 질까? 첫째, 보다 정밀하고 상세한 공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진다. 상권 분석의 경우, 구역 단위로만 이루어지던 것을 앞으로는 주소 기반의 데이터로 도로마다 상권을 분석할 수도 있고 건물 단위로도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주소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은 크게 GPS 좌표, 관심지점(POI), 그리고 주소로 나뉜다. GPS 좌표는 사람이 언어로 소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의 공통된 논리적 식별자로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POI는 데이터를 구축하거나 서비스하는 기업이 표준화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한 동일성을 보장받기 어렵다.(효자주공아파트 3단지, 효자3단지아파트 등) 반면 주소는 사람과 기계가 공히 인식할 수 있으며, 논리적 위치의 특성과 글로벌 유일성 모두를 갖추고 있다. 셋째,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혁신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최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모빌리티, 사회안전망,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공공영역에 디지털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전주시에서는 전주시의 복잡한 현실 세계를 디지털트윈으로 만들고, 디지털트윈 가상공간에 다양한 행정데이터를 연결하여 여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폭염 취약지를 분석해 무더위 쉼터를 설치하고,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해 지역별·건물별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며, 심지어 나무를 심을 때도 최적지를 선정하여 식재하고 있다. 주소정보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면 이 외에도 수많은 일들이 가능해진다. 내가 있는 ’바로 이곳‘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세상이 온다는 얘기다. 디지털 대전환을 맞아 주소는 또다시 도약할 준비가 되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 모든 데이터가 주소로 연결되어 주소로 안전하고 편리한 나라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최병관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정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