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20:39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금요칼럼
일반기사

[금요칼럼] 실용정부와 녹색성장 정부 - 한정호

한정호(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정부나 회사나 할 것 없이 모든 조직체는 좋은 정체성 (Identity)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가 일 잘하고 회사가 돈 잘 벌면 되지 무슨 정체성이 필요하냐고 반문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대의 조직체 경영에 있어 정체성은 필수불가결하다. 우리는 무엇하는 사람들이며 무엇을 위해 사는가에 대해 창조적으로 답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조직은 저마다의 역사와 개성과 문화가 있기 미련이며 이를 반죽시킨 것이 정체성이다. 정체성이 없으면 조직은 오래가지 못하고 힘을 극대화 시키기 힘들다. 좋은 조직은 자기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조직원들을 담합시키며 환경에 반응한다.

 

조직체 정체성의 전문가인 로렌스 애커먼은 좋은 조직체의 정체성을 위한 7가지 조건을 설명한다. 첫째는 실존성이다. 조직체는 마치 사람 같아서 스스로에게 삶의 의미가 주어져야 한다. 나름대로의 조직의 존재가치를 추구해야 이 문제가 풀린다. 둘째는 개별성이다. 다른 조직체와 달라야 한다. 사람도 모두 다르듯이 조직도 자기 만의 특색을 가져야 한다. 셋째는 일관성이다. 창업이나 출범 때부터 해서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일관성이 필요하다. 아무리 조직체가 변해도 면면이 이어지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넷째는 의지이다. 정체성은 앞으로 이 조직체가 무엇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일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는 가능성이다. 좋은 조직체의 정체성은 가능성을 내포한다. 사실 정체성 자체가 미래지향적이다. 여섯째는 관계성이다. 정체성에 의해 조직과 사람사이의 관계가 다르게 설정이 되어야 한다. 조직체가 좋은 정체성을 가지면 아래, 위, 옆의 구성원들이 새로운 관계 속에서 만난다. 마지막은 이해성이다. 조직체의 정체성이 남에게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정체성도 너무 복잡하거나 애매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으면 실패한다.

 

뚜렷하고도 좋은 조직체의 정체성은 조직체 관리의 효율성을 최대화시킨다. 인사, 행정, 재무, 기획의 여러 정책들이 흩어지지 않게 만드는 것이며 정책과 행동에 대한 설명을 명백하게 해준다. 정체성이라는 구심점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뻗어나갈 수 있으며 그렇게 해도 궤를 벗어나지 않는다.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재능을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정부의 경우 정체성은 한 정권이 다른 정권과 달리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나를 보여준다. 그 정권다운 특성으로 목표를 세우고 사람들을 결집하고 색깔을 드러낸다. 정부의 정체성의 정점에는 대통령이 있다. 그의 리더십은 바로 정체성의 발현이다. 대통령이 행하는 인사, 이벤트, 사업, 발언, 정책, 대화 모든 것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나타난다. 좋은 정체성을 가지는 것은 그러한 것들이 하나의 궤를 가지는 것이다. 이제 MB정부는 4대강 살리기, 세종도시, 자원외교, G20 회의, 녹색 성장, 서민정책 등 수 많은 사업들을 계획, 추진하려고 한다. 국민들에게 이 모든 것을 잇는 무언가의 축이 느껴져야 한다. 그 축이 무언지 굳이 이름을 붙일 필요는 없다. 좋은 정체성을 가지면 자연스레 정체성을 설명하는 이름이 붙여지게 마련이다. 문제는 그러한 뚜렷한 정체성이 대통령의 머리와 마음 속에 있는가하는 것이다.

 

MB 정부는 스스로를 실용정부라고 부르고 이를 정부의 정체성으로 주장하며 자기변호를 열심히 했다. 아마도 과거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에 상응하는 정부의 정체성 이름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럴 필요는 없다고 본다. 정체성으로 그 정부의 이름을 불러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MB 정부는 스스로를 실용정부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거리낄 필요는 없다. 실용정부는 괜찮은 이름이다. 이대통령의 성격과 잘 어울린다. 실용주의의 철학은 이념적이거나 형식적인 것으로 부터의 탈피를 강조하고 실제 (practice)적 성과를 강조하는 이른바 존듀이의 실용주의 (pragmatism) 노선을 따르는 것인데 실용정부는 이러한 정신을 높이 사는 것으로 설명하면 된다. 그러나 실용정부에서 말하는 실용은 스타일이지 정체성은 아니다. 이 대통령이 자신의 정부를 실용정부라고 말하는 것은 좋으나 자신의 통치의 정체성을 실용이라고 해서는 안된다. 도데체 실용이라는 축으로 지금과 미래의 사업과 정책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런 면에서 MB정부의 정체성은 차라리 녹색성장정부로 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비록 외교나 국방, 안보면에서 설명력이 떨어지나 사업과 정책의 중점을 환경과 인간을 강조하는 질적성장으로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실용정부보다는 훨씬 나은 정권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다만 녹색성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더 이상적으로 밝히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서민을 중요시 여기는 인본주의와 과학기술에 바탕한 환경주의. "나는 한국적 녹색성장의 주춧돌을 놓는 사람"이라는 개인적 정체성이 "실용주의 정부의 책임자"보다 더 낫다고 본다. 이제집권 2년이 되어 가는 마당에 굳이 정권의 이름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실용주의 정부는 MB정부의 일하는 스타일을 명명하는 것으로 역할이 충분하다. 대통령의 머리와 마음 속에 자신 있게 형성한 정체성이 있으면 된다. 그 정체성이 성공적인 것이면 이 정부가 끝날 때 쯤 멋있는 이름을 언론들이 붙여줄 것이다. 현재까지 내 놓은 것으로는 "녹색성장정부"가 제일 좋다.

 

/한정호(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