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개막한 국제탄소페스티벌은 전북도가 탄소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도민들은 물론 전 국민에 널리 알리겠다는 취지로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됐다.
그간 전북도는 KIST전북분원 유치, 한국탄소융합기술원 건립 등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국제탄소페스티벌만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는 듯하다.
각종 학술대회와 포럼, 탄소소재 제품 전시 등 페스티벌의 기본 골격은 8년 전 그대로다.
오히려 더 퇴보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날 노벨상 후보에 올랐던 모리노부 엔도 교수의 기조연설이 있었다.
그의 연설을 듣기 위해 전북도청 대강당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렸다.
하지만 참석자들은 영어로 진행되는 연설을 듣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전북도가 동시통역을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영문은 물론 한글로 작성된 연설문도 마련되지 않아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참석자들에게는 무의미한 자리였다.
전문적인 내용의 연설이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변명도 궁색하다.
탄소에 대해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에게 강연을 들을 기회조차 원천봉쇄해 버리는 전북도의 태도는 '페스티벌'이 추구하는 목표와 어울리지 않는다.
지난 1일 전주에서 열린 '제11차 아시아-태평양 NGO환경회의'에서도 전문적인 내용의 포럼이 있었으나, 일반인들의 참가율은 높았고 주최 측은 동시통역을 제공한 것과 대조적이다.
개막식 자리에 학생들을 동원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개막식에는 1000여명이 모였지만 객석의 절반 이상은 학생들이 차지했다.
이들은 개막식에는 관심이 없는 듯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잡담을 나눴다.
이른바 '머릿수 채우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다.
그간 전북도는 3·1절, 8·15 광복절 행사에서도 '봉사활동 점수'를 미끼로 학생들을 동원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전북도는 이번 페스티벌에 도비 1억3000만원을 썼다.
또 탄소의 시대를 맞아 탄소산업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국제적인 교류의 장이 펼쳐진다고 떠들썩하게 홍보했다.
이날 행사를 지켜보며 전북도 관계자의 설명에 대해 '그들만의 잔치'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