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동남아시장 미래전략 / 새만금 사업·창업활성화 / 패러다임 전환과 실천을
국내외적으로 시국이 엄중한 요즘이다. 그 와중에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수출 감소,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고향 전북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에 마음이 착잡하다. 마냥 속앓이만 할 수는 없는 일이기에 고향경제의 활로를 고민해 본다.
무엇보다 전북경제의 성장방식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과거 전북경제는 농어업, 경공업, 자영업위주 서비스업으로 구성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성장을 추구해왔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의 지역내총생산(GRDP) 증가규모가 전국평균과 비슷하니 그리 나쁜 성적은 아니다. 그러나 실질증가율은 2007년 5%에서 2015년 0%를 기록해 성장동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간 성장을 견인해왔으나 쇠락해가는 주력산업은 소프트랜딩시킴과 동시에 미래 신성장산업들을 찾아내 신속하게 인큐베이팅하는 병행전략(Two-track)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라북도가 처한 지경학적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판단에 기초한 정책기획, 투자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그리고 창업활성화를 가능케 하는 정책당국의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전라북도의 미래 활동무대는 역시 중국과 동남아시장이다. 현재 도에서 추진 중인 삼락농정, 탄소산업, 토탈관광은 각각 농어업, 제조업, 서비스업 분야에서 중국, 동남아시아 시장향 미래 신성장산업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환서해안권에 위치하면서 농어업 비중이 높고, 문화콘텐츠가 풍부한 청정지역 전라북도의 지경학적 환경에서 볼 때 전략적 방향성을 잘 잡은 것으로 보여진다.
추가로 정책당국에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 산업구조 업그레이드 전략’을 펼쳐줄 것을 주문한다. 일례로 최근 중국 정부는 향후 3년간 자국 내 초고속인터넷인프라사업에 206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새만금 내에 제조업-ICT 융합클러스터인 가칭 새만금테크노밸리 조성을 통해 중국, 동남아 등의 해외수요에 대응한다면 전북경제의 산업구조 개편과 성장에 유익할 것이다.
둘째, 전북경제의 아킬레스건은 새만금사업이다. 새만금은 전라북도의 미래 문제들 즉 경제성장, 인구, 교육, 환경문제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아리울(Ariul)에 국내외 기업들이 자유롭게 투자하고 기업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각종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새만금 내부개발을 가일층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지기금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새만금은 기본적으로 정부사업이다. 다음 정부에서는 반드시 새만금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놔야 한다. 현재 한중 FTA 산업단지로 지정되어 있는 수준을 넘어 ‘환서해안 시대 경제특구’로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북경제의 미래 지속가능성 여부는 창업활성화 성공여부에 달려있다. 창업활성화는 인구와 교육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열쇠이다. 인구감소와 고령화 가속화 현상은 전북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심각히 저해하고 있다. 농촌에서는 아기 울음소리 듣기가 어렵게 되었다. 대다수 광역자치단체가 그렇듯 전라북도의 교육도 정량적 수치로만 볼 때 무너져 내린지 오래다. 청년들이 그리고 인생 이모작을 꿈꾸는 은퇴자들이 창업하기 편하고 실패하더라도 재기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춰져 있어야 아이를 낳고, 인구가 유입되고, 교육도 발전할 수 있다.
전북경제를 둘러싼 임박한 위기들과 4차 산업혁명의 파고 앞에서 관민이 혼연일치 되어 대처하되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각자 위치에서 발상의 전환과 실천이 필요한 때다.
△홍석빈 대표이사는 Accenture(액센츄어) 경영컨설턴트,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우석대학교 초빙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