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2 10:42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금요수필
일반기사

유년시절은 청정제

임숙례
임숙례

나무가 자라서 꽃을 피우고 열매 맺기까지는 힘의 뿌리를 내릴 시기에 있다. 그 시기 중에서 근원의 힘이 되고 밑바탕이 되는 시기는 유년시절이 아닐까? 하얀 종이에 무지개를 그리고 꿈을 심던 유년시절은 세월을 살아가는 데 청정제 역할을 했다.

나는 요즘도 가끔 심신이 무기력해지고 의욕이 상실될 때면 어린 시절을 떠올려본다. 꿈을 꾸듯, 영화를 보듯 투영해보면 바닷물 위로 상승하는 고기비늘의 반짝임처럼, 무기력한 내 마음도 반짝이는 탄력이 생긴다. 그런 내 유년의 고향은 남해바닷물과 섬진강물이 만나는 하동군의 작은 포구 용포마을이다.

썰물이 지면 아이들은 바다호미를 들고 갱조개(재첩)와 백합을 캐러 모래 숨구멍을 찾으러 다녔다. 어둑한 새벽, 김을 다지는 통나무도마 소리에 추운 새벽이 열리던 곳. 쇠죽 아궁이에 솔가지가 활활 타오르며 하루가 시작되었다. 긴 부지깽이로 다독다독 눕혀가며 태우던 불꽃이 내 가슴속 온기로 퍼져가곤 했다.

그런 고향을 떠나 우리 가족은 여수로 이주를 했다. 처음에는 여수가 낯설어서 우리 형제는 방학만 하면 고향인 용포로 내달음질치기도 했다. 여수에서 여객선을 타고 하동노량에 도착하여 다시 작은 기선을 갈아타고 한 시간 반을 달려야 용포 어구가 나타난다. 선창가를 돌아 논두렁길에 들어서면 큰어머니는 어느새 우리를 보고 이름을 번갈아 부르시며 달려 오셨다.

“아이고 내 새끼들 오나.” 큰어머니의 찌렁한 목소리는 고향 포구를 감아 돌았고 두 팔로 감싸 안은 가슴은 고향의 아랫묵처럼 포근하고 넓었다. “큰엄마! 우리 오는 줄 어찌 알았노?” “하메 느그가 올랑가 싶어 늘 선창가를 안 쳐다 봤나. 먼 데서 봐도 그냥 알것데이.” 하시며 눈가에 이슬이 맺히곤 하셨다.

언젠가, 큰집에 갔었을 때 큰아버지의 빠른 걸음을 따라 걷다가 돌부리에 채여 넘어지면서 발가락이 벌겋게 부어 욱신거리더니 곪아버렸다. 읍내와 멀리 떨어진 곳이라 약을 구할 수가 없자 큰어머니는 양잿물에 발을 담궈 부기를 가라앉힌 후 입으로 피고름을 빨아 내셨다.

방학이 끝날 무렵이면 큰어머니는 바쁘셨다. 가마솥에 올벼쌀을 쪄서 덕석에 말려 절구에 찧으시랴, 마당에 가마솥 뚜껑을 걸고 호박, 방앗잎 전 부치랴, 이것저것 만들어 싸 주시느라 등줄기의 땀이 적삼을 적셨다. 큰어머니의 눈물도 뒤로하고 여객선에 올라 빵빵한 가방을 풀어서 갓 찧은 쫄깃하고 달짝지근한 올벼쌀을 씹으며 여수항까지 왔다.

가까이 다가 왔다가 멀어지는 섬처럼 세월도 많이 흘렀다. 우리를 친자식처럼 사랑하시던 큰어머니, 큰아버지, 부모님, 모두 고향 용포마을 선산에 계신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요즘은 디지털 시대라 하루가 다르게 변하더니 고향도 참 많이 변했다. 바다호미를 들고 나가던 모래밭도 없어지고, 아스라이 꿈처럼 바라보던 섬들도 육지로 변해 코앞에 앉아 있다.

아직도 내 마음속엔 썰물과 밀물이 교차하던 용포가 꿈틀거린다. 김을 떠 말리던 김 막도 온데간데없고 섬진강과 남해가 만나던 용포 어구도 사라졌다. 산을 깎아 바다를 채워서 바다도 저 멀리 밀려 났다. 그러나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어릴 적사랑은 여전히 내 삶의 힘이다.

세월의 나이테가 감겨 갈수록 큰어머니의 입속 온기가 엄지발가락을 타고 가슴을 활활 태운다. 솔가지 불꽃을 피우던 고향, 큰어머니의 따뜻한 온기로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고 싶다.

 

* 임숙례는 <시와 산문> 수필. <소년문학> 동시로 등단했으며, 제6회 녹색 수필상을 수상했다.산문집 <가끔씩 뒤돌아보며 산다> 외 2권과 동시집 <꿈을 꾸며> 를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