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가득히 점들이, 그 속에도 다른 점들이 무수히 중첩돼 그려져 있다. 아는 사람 없는 뉴욕의 한 방에 앉아 고국에 두고 온 정다운 모습들을 떠올리며 한없는 외로움의 몸짓으로 그 많은 점들을 그렸다 한다. 그 점 “내가 그린 점 하늘까지 갔을까?”하던 그 점 하나하나는 그대로 사무치게 그리운 추억의 편린들이었을 것이다.
시인 김광섭(1905- 1977)의 시 ‘저녁에’는 “저렇게 많은 중에서/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밤이 깊을수록/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나는 어둠속에 사라진다//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다시 만나랴”의 이미지를 같은 마음으로 다시 한 번 화가 김환기(1913-1974)가 그림으로 번역했다. 작품명제는 바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이다.
이는 또 유심초라는 대중 가수에 의하여 가요로도 만들어져 사람들에게 애창된 바 있다. 이는 문학이 미술이나 음악으로, 미술이나 음악이 문학으로 그 주관에 따라 다시 번역되는 사례이다. ‘시는 형태가 없는 그림이요 그림은 형태가 있는 시‘라는 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미 오래 전부터 진지하게 있었던 말이다. 신학에 의하여 모든 학문이 제 구실을 못한 중세를 지나 르네상스 시대를 맞아 화가들이 제 몫을 찾을 때이다. 다빈치는 말 안하는 시(Muta Poesis)와 말 하는 그림(Pictura Loruens)라고 그림과 시를 구분한 뒤 소경과 벙어리 양자 간에 누가 더 결함이 많은가 하고 묻고 있다. 심지어는 그림과 조각에서조차 어느 것이 더 우월한가를 말하는 중에 조각가들이 “조각이 3차원의 물체를 창조하는데 반하여 그림은 3차원의 환상을 부여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그 환상은 지적인 수단에 의해서 창조되는데 반하여 조각의 3차원은 오로지 소재에 의존하고 있다. 촉각으로 지각할 수 없는 것을 지각할 수 있는 듯이 하고 평면의 물체를 부조처럼 보여 주며 가까이 있는 것을 멀리 있는 것처럼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그림이다” 라고 완벽하게 반박하는 중에 회화의 인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