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이 개항한지 12년째 되는 1998년.
통상산업부장관과 부총리겸 재정경제원 장관을 지낸 임창열 경기도지사는 취임 직후 평택항으로 달려왔다.
그는 평택항을 찾아 '경기도 유일의 평택항에 살아야 경기도가 산다'며 항만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항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행정수장의 이같은 인식아래 항만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기도와 평택시의 열정과 노력은 이어졌고 많은 기업 입주로 오늘날 평택항은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1986년 개항의 짧은 역사에도 완성차 , 컨테이너 등 국내 화물처리실적 5위의 위상을 자랑하면서 경기도와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도내 유일의 군산항은 어떠한가.
1899년 국내 4번째로 문을 열었다. 그러나 개항 123년을 맞은 오늘날 군산항의 위상은 추락했다.
물동량 측면에서 전국 12위권으로 밀려났다. 해양수산부의 국내 주요 항만 소개에서도 누락됐다.
도내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물동량조차 다른 항만에서 대부분 처리되고 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자료를 보면 2020년 도내 수출 물동량의 75%는 광양항과 부산항에서, 수입 물동량의 약 25%는 광양항에서 소화되고 있을 정도다.
특히 군산의 수출 물동량은 도내 전체 수출 물동량의 50%에 육박하고 있지만 군산항에서의 수출은 40%에도 미치지 못한다.
코앞에 군산항을 두고도 이용치 못하는 상황이다. 그러다보니 물류비용절감을 기대하면서 도내에 입주한 기업들은 실망을 넘어 후회하고 있다.
왜 군산항이 초라해졌고 기업들은 물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타지역 항만을 이용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는가.
그동안 전북도와 군산시및 정치권이 도내 유일의 항만인 군산항에 대해 무관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군산항이 토사매몰로 신음해도, 기업들이 물류비용으로 고충을 겪어도 그저 '남의 일인양' 치부한 탓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군산항의 위상은 어디까지 추락할 지 모른다.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류비용부담이 큰 데 어느 기업이 전북지역에 둥지를 틀 것인가.
2026년에는 5만톤급 2개 선석 규모로 새만금 신항이 문을 연다. 전북은 2개 항만을 운영하는 시대에 돌입한다.
그러나 문제는 산적해 있다. 군산항 토사매몰현상의 근본적인 해소, 2040년까지 새만금 신항의 차질없는 건설,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의 상생 방안 마련 등....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의 운영을 통해 도내 발생 수출입 물동량을 소화함으로써 기업들의 물류비용부담을 줄여 나갈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전국에는 현재 31개 무역항이 있다. 항만를 가진 자치단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항만발전에 혈안이 돼 있다.
항만활성화를 도모하지 않고는 도내 기업 유치와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은 구두선에 불과할 것이다.
김관영 도지사 당선자는 도정의 중심을 경제와 일자리에 두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전북에 몰려와야 일자리가 창출되고 경제도 살아난다.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수출입 물류의 대표적 인프라인 항만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도지사 취임식을 군산항에서 갖는 게 어떨까 싶다.
/안봉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