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어느덧 10월에 접어들었다.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것이 조만간 가을의 문턱을 완전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다시 생각해보면 예전에는 10월이 되면 완연한 가을이란 생각이 들었는데, 지금은 10월이 되어도 반팔 옷을 그대로 입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어릴 적 배웠던 우리나라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였다. 그러나 최근의 날씨를 복기해보면 긴 여름과 겨울 사이에 눈 깜짝할 새 지나가는 봄과 가을이 끼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뀐 건 계절뿐만이 아니다. 6월 하순이면 장마가 찾아와 7월까지 비를 뿌린 후 8월부터 한여름이 시작되는 전형적인 여름의 패턴도 완전히 변했다. 마른장마에 이른 폭염과 열대야, 예상치 못한 집중호우가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사실 이상기후는 오래전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1980년대 미국의 저명한 환경운동가 앨 고어가 기후변화를 주창한 이후,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무분별한 환경파괴에 따른 기후 위기를 경고해왔다.
학자들은 환경을 되돌리고자 하는 노력 없이 이대로 우리의 환경 파괴가 계속된다면 지구 생물들의 대멸종이 임박할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내고 있다. 지구 평균 온도가 높아지면 빙하가 녹고 이는 해수면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미 지표면이 낮았던 태평양의 섬들은 물에 잠겨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세계 곳곳의 많은 도시들이 해수면과 사투를 벌이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1992년 리우회의와 1997년 교토의정서를 발표하는 등 공동체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자국의 이익 앞에서 등을 돌리는 국가들 때문에 그 효과는 크지 않았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2020년 이후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세계적인 협상이 성사되었다는 점이다. 2015년에 이루어진 파리협정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전 지구적 장기 목표하에 모든 국가가 2020년부터 기후행동에 참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 위기에 맞서 적극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 2011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 등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빠르게 마련했으며. 2020년에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2022년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기후 위기 대응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제도의 구축뿐만 아니라 위기 대응을 위한 홍보와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 대대적인 홍보로 기후변화에 대해서 모르는 국민들은 이제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하지만 아직도 기후 위기를 먼 나라 이야기처럼 생각하고 있는 국민도 상당하다.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의 결단도 필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는 국민의 행동 변화도 필요하다. 재활용을 철저히 해 매립폐기물을 줄이는 것, 승용차보다 대중교통과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는 플러그를 뽑아 놓는 것 같이 사소하고 작은 것들이 모이면 어마어마한 양의 탄소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기후변화는 우리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위협이 됐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우리가 힘을 모은다면, 우리는 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누구도 예기치 못한 이상기후로 어려움을 겪지 않는 미래를 꿈꿔본다.
/김봉정 전주시의회사무국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