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6:4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chevron_right 전주한지로드
자체기사

[전주한지로드]⑧세계 속 한지 이야기: 이탈리아 문화재 보존·복원 시장서 인정⋯"미래 생각한 복원, 한지 매우 유용"

'교황 요한 23세 지구본' 복원에 한지 사용 화제
일본 화지 독점한 복원 시장 진출했다는 데 의의
전주 고종황제 서한 복본 프란치스코 교황 전달
키아라 "수많은 고문서, 고서화⋯복원 수요 확대"

image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사진=문민주 기자

세계에서 가장 작지만, 가장 큰 나라 바티칸. 바티칸은 면적으로는 지구상 국가들 중 가장 작지만, 전 세계 12억 명 이상의 가톨릭 신자와 교회, 교구를 통솔하는 바티칸 교황청이 자리하고 있다. 바티칸 궁전 안에 있는 바티칸박물관은 미술관, 도서관, 기념물 등을 포괄하는 공간으로 르네상스 시대 거장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작품을 비롯해 고대 로마·이집트 유물, 역대 교황이 수집한 미술품과 고문서 등 모두 7만여 점의 예술품을 소장한 세계 최대 박물관 가운데 하나다. 바티칸박물관은 대영박물관, 루브르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박물관으로 꼽히기도 한다.

바티칸 시국은 1984년 국가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문화유산의 보고다. 바티칸박물관은 이러한 보물의 집합소이다. 그만큼 오래된 유물이나 작품이 많다. 특히 고문서는 훼손되는 경우가 더 흔하고, 이를 보존·복원하기 위해 여러 종이가 사용된다. 이 문화재 보존·복원 시장은 일본 화지가 선점한 상황이다. 한국의 한지가 그 틈새를 뚫고 바티칸박물관 등 유럽시장에 진출했다는 것은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image
바티칸박물관 입구/ 사진=문민주 기자

한지가 이탈리아 문화재 보존·복원에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건 10년이 채 되지 않는다. 2014년 수교 130주년을 맞은 한국과 이탈리아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같은 해 10월 로마에서 문화유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같은 해 6월 밀라노에서 열린 한지 워크숍에 참가한 이탈리아의 복원 전문가들이 자발적으로 한지연구동호회 '그룹 130'을 결성하며 유럽에서도 한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2015년에는 이탈리아 교황 요한 23세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교황 요한 23세 지구본' 복원에 한지를 사용하기로 하면서 화제가 됐다. 교황 요한 23세 지구본은 바티칸 접견실에 두고 외빈을 접견할 때마다 활용하던 교황의 애장품이다. 둘레 4m가 넘는 거대한 지구본으로 가톨릭사에서 중요한 문화재로 평가받는다.

image
바티칸 접견실에서 지구본을 바라보는 교황 요한 23세/ 사진=외교부 제공

2016년에는 신현세 장인이 만든 경남 의령한지 2종이 이탈리아 문화부 산하기관인 국립기록유산보존복원중앙연구소(ICRCPAL)로부터 기록유산 보존·복원 용도로 적합하다는 공식 인증서를 받았다. ICRCPAL은 한지를 활용해 이탈리아의 기록유산인 성 프란체스코의 카르툴라, 로사노 복음서, 사르데냐 가문의 문장집, 243 음악책,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 그림 등 5종을 보존·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2018년 ICRCPAL과 바티칸박물관은 한지를 이용해 기록유산 2개, 카타콤베 벽화 복제화 5점, 성 루카 아카데미 그림 1개를 추가로 보존·복원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에는 마이모니데스의 의심 가득한 자들을 위한 지침서, 시리아 가톨릭 성서, 카말돌리 수도사 도서관의 플라비오 비온도 활자 인쇄본 2권이 한지를 활용해 보존·복원 처리됐다. 2020년에는 전주 성일한지 2종이 ICRCPAL에서 기록유산 보존·복원용 종이로 인증받았다.

image
2017년 11월 김승수 전 전주시장이 전주한지로 복본한 1903년 고종황제의 서한을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전주시 제공

또 2017년 11월에는 전주한지로 복본한 고종황제 서한이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전달되면서 전주한지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 또한 커졌다. 당시 김승수 전주시장과 김혜봉 세계종교평화협의회 의장은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수요 일반 알현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 전주한지로 복본한 고종황제 서한을 전달했다.

서한은 1903년 즉위한 비오 10세 교황이 고종황제에게 보낸 친서에 대한 답장으로, 1904년 주불공사 민영찬이 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한은 비오 10세 즉위를 축하하고, 건강하길 바란다는 내용이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시는 고종황제 서한과 함께 당시 뮈텔 조선교구 교구장이 보낸 서한 등 50여 장도 전주한지로 똑같이 재현해 기증했다. 서한에는 러일전쟁과 한국 천주교 규모 등 당시 조선 상황 등이 담겨있다. 복본은 교황청 비밀문서고에 원본과 함께 소장돼 있다.

image
바티칸박물관 키아라 포르니치아리 종이복원팀장(왼쪽)/ 사진=문민주 기자

바티칸박물관에서는 현재도 한지를 활용해 문화재를 복원하고 있다. 이 모든 과정을 함께한 인물이 있으니, 그는 바티칸박물관의 키아라 포르니치아리 종이복원팀장이다.

키아라 포르니치아리 종이복원팀장은 2014년 밀라노 한지 워크숍에 참여하며 한국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그는 현재도 한지를 사용해 로마 카타콤베 그림들을 복원하고 있다. 그는 "카타콤베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그림들이다. 화려하지 않은 작품처럼 보일 수 있지만 기록으로 남는 아주 중요한 작품"이라며 "그림이 139개나 있다. 현재 약 20∼30개를 복원했고 나머지 100개가 남아 있기 때문에 아주 긴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복원은 대개 원본 종이와 캔버스 사이에 한지를 넣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그는 "복원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작품의 원모습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라며 "내가 복원한 결과물이 최선이 아닐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에 '제거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더 좋은 기술이 나왔을 때 재복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옛날 복원 방식은 종이를 붙인 다음 색깔을 다시 덧칠해 입히는 거였다. 그렇게 되면 나중에 때가 묻어서 색깔이 변한다. 그래서 먼 미래를 생각하고 복원하는 게 중요하다"며 "한지의 경우 아주 얇지만 매우 튼튼하기 때문에 복원에 매우 유용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도 500여 년간 여러 차례 덧칠됐다. 1982년 최첨단 기법을 동원한 대대적인 복원 작업 끝에 그림을 덮고 있던 먼지와 때, 덧칠 등이 제거되면서 본래의 화려한 색채와 형태가 되살아났다.

키아라 포르니치아리 종이복원팀장은 "이탈리아에는 수많은 고문서, 고서화가 있다. 한지를 활용한 문화재 복원 수요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지는 산화도(ph) 정도에 따라 최대 8000년까지 지속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만큼 내구성과 보존성이 뛰어나다.

그는 "한국과의 교류를 통해 한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의 한지장들은 소중한 존재"라며 "이탈리아에는 더 이상 그런(전통종이를 만드는) 장인들이 없다. 이 때문에 이탈리아에서도 전통종이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위대한 전통이 잘 보존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탈리아 #바티칸박물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