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19:5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chevron_right 전주한지로드
자체기사

[전주한지로드] ③ 전주한지 그리고 서예·공예: 한국 서단의 뿌리 전북⋯바탕엔 부드럽고 질긴 종이

'한국 서화 발달' 전북 ⋯서단 거목들 전주한지에 많은 작품 남겨
전주한지 이용한 부채·우산 '지역 대표 명물'⋯장인들 명맥 이어가
문화재 보존·복원, 교과서, 수의 등 전주한지 산업화·실용화 노력

"고려에 면견지가 있는데 색이 하얀 것은 마치 무늬 있는 비단 같고 강하고 질긴 것은 마치 명주와 같다. 그것으로 글씨를 쓰면 발묵이 매우 좋다." -고렴의 '준생팔전' 중에서

예로부터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는 종이의 역사가 깊은 중국에서도 최고로 꼽을 만큼 우수한 품질을 자랑했다. 중국문헌 '박물요람'에도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종이가 먹을 먹는 품이 고려지만큼 겸손한 것이 없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고려지에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그 당시 상류사회의 사치이자 자랑이었다.

이처럼 한지는 연약해 보이지만, 사실 굉장히 강한 종이다. 한지가죽이란 한지를 가죽 대용으로 만든 소재로 <인조실록>에 "종이옷은 가볍고 따뜻하고 얇고 부드럽지만 여러 겹이면 화살도 뚫지 못할 정도로 강하다"라고 기록돼 있을 만큼 조선시대에도 한지가죽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한지는 흡수력이 우수해 예로부터 서예가나 화가들이 널리 애용한 재료이다. 이처럼 때론 부드럽고 때론 질긴 한지의 특성은 다양한 분야와 어우러지며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게 했다. 특히 한지의 고장인 전주와 전북에선 서예와 공예가 발달했는데, 이 바탕에는 전통한지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image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자료 사진

 

'한국 서화 발달' 전북 ⋯서단 거목들 전주한지에 많은 작품 남겨

질 좋은 전주한지가 많이 났던 전북에서는 오래전부터 서예가 발달했다. 전북은 조선 말기에서 근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한국 서화 미술이 가장 발달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한국 서예의 명맥을 지켜온 전북 서예는 송재 송일중(1632∼1717), 창암 이삼만(1770∼1847), 석정 이정직(1841∼1916), 벽하 조주승(1854∼1903), 유재 송기면(1882∼1959), 설송 최규상(1891∼1956), 석전 황욱(1898∼1993), 강암 송성용(1913∼1999), 남정 최정균(1924∼2001), 여산 권갑석(1924-2008) 등에 이르기까지 오래전부터 탄탄한 서단을 형성해 왔다.  창암 이삼만, 석정 이정직, 석전 황욱, 강암 송성용 등 한국 서단의 거목이었던 서예술가들이 대거 배출되면서 전북 서단은 한국 서단의 뿌리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서화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97년부터 격년제로 열리는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도 전북 서예의 명맥을 이어주는 귀한 통로다.

한지의 고장으로 이름을 알렸던 전북의 전통은 '실과 바늘' 같은 한지와 서예라는 조화로운 문화유산을 만들어냈다.

지역에서 작품 활동을 한 서예가들은 자연히 전주한지에 많은 작품을 남겼다. 창암은 전주한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걸맞은 글씨를 연구해 작품으로 남겼는데, 200여 년이 흘러도 오늘날 그의 작품이 잘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전주한지의 우수성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한지의 본래 용도는 무언가를 '쓰거나 그리는' 데 있다. 한지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서화 용지로 각광받았으나, 펄프를 사용해 양지 제조기법으로 만들어진 화선지가 유행하면서 점차 서화 용지의 자리에서 밀려나게 됐다.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 값싼 화선지가 대량 수입되는 등 중국산 화선지가 시장을 점령하며 한지의 쓰임새가 크게 위축됐다.

이러한 복합적인 영향으로 최근에는 한지의 본래 용도가 퇴색되고, 응용한지가 더 활발하게 발전하는 양상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응용한지도 중요하지만, 순수 한지산업이 살아나야 응용한지도 활성화된다"며 서화용 한지 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image
김동식作 천연 염색 백접선

 

전주한지 이용한 부채·우산 '지역 대표 명물'⋯장인들 명맥 이어가

예로부터 전북은 질 좋은 한지와 곧고 단단한 대나무에 장인들의 예술 정신이 덧붙여진 '전주부채'가 유명했다. 부채는 한자로 선자(扇子)라고 하는데, 부채를 만드는 기술을 가진 장인을 '선자장'이라고 불렀다.

전주에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선자장 김동식 선생을 비롯해 전북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선자장 박인권·방화선·엄재수 선생, 낙죽장 이신입 선생 등 수많은 장인이 부채를 만들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를 관할하던 전주 전라감영에 '선자청'을 두고 부채를 생산·관리하게 했다. <이조실록>에 따르면 이조시대 선자청이 있던 곳은 전라감영이 유일했다고 전해진다. 이곳에서 생산된 부채는 임금에게 진상됐는데, 임금은 이를 '단오선'이라 이름 붙여 여름 더위를 대비해 신하들에게 하사했다고 한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선자청에서 부채를 만들던 장인들은 지금의 전주 중앙동에 터를 잡기 시작했다. 해방 후 중앙동이 발전하며 장인들은 반석리(현재 서학동)와 가재미골(현재 인후동)로 자리를 옮겼고, 이곳에 일종의 공방촌이 형성되기 이르렀다.

이렇듯 전주에서는 조선시대부터 대표 특산품으로 전주부채를 만들어왔으며, 현재도 전국에서 부채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부채 명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전주부채의 명맥이 이어져 온 것은 장인들의 기술력도 있지만, 부채에 사용되는 우수한 전주한지의 질에도 그 공이 일정 부분 있다.

또 전주에는 선자장뿐만 아니라 한지장, 한지발장, 지우산장 등 한지와 관련된 무형문화재 장인들이 여럿 존재한다.

image
우산장 윤규상이 제작한 지우산을 든 모습/ 자료 사진

특히 전주에는 국내에 단 한 명뿐인 지우산(종이우산) 장인이 있다. 전북무형문화재 지우산 장인인 윤규상 선생은 전주에서 번성했지만 산업화에 밀려 사라질 뻔한 지우산을 되살려 현재까지 제작해오고 있다.

윤 명인은 17세인 1957년부터 진우봉, 엄주학 장인으로부터 지우산 만드는 법을 배웠다. 25세에 독립해 지우산 공장을 세웠지만 1970년대 이후 값싼 비닐우산, 천우산 등이 보급되면서 1985년 사업을 접었다. 이후 그는 2005년 한지발 명인인 유배근 선생을 만나 전통 공예의 맥을 잇기로 결심하고 3년에 걸쳐 옛날 방식의 제작 도구들을 복원해 전주한지를 이용한 전통 지우산을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또 전주한지를 이용한 한지공예도 전주의 자랑이다. 한지공예는 제작 기법에 따라 지승공예, 지호공예, 지화공예, 전지공예 등으로 구분된다. 지승공예는 한지 색지를 길게 꼬아 엮어 생활용품이나 장식품을 만드는 예술의 한 분야다. 전지공예는 한지를 칼로 잘라 문양을 내는 공예를 말한다. 한지공예 부문 전북무형문화재로는 색지장 김혜미자, 지승장 김선애 선생이 있다.

image
전주 전통한지를 삽입한 지역사회 교과서/ 자료 사진

 

문화재 보존·복원, 교과서, 수의 등 전주한지 산업화·실용화 노력

한지는 기록유산의 보존적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실용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대표적인 것이 문화재 보수·복원 분야다.

2017년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은 일본의 화지, 중국의 선지를 제치고 '기록 유물 복원용 종이'로 한국의 한지를 채택했다. 이탈리아 국립기록유산 보존복원 중앙연구소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전통 한지 5종에 대해 문화재 보수·복원 용지로 적합하다고 인증한 바 있다.

전주시는 전주한지의 대중화, 활성화를 위해 문화재 보수·복본 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일례로 전주, 완주, 임실, 부안 등에 전주 전통한지를 삽입한 지역사회 교과서를 배포하는 것이다. 전주시는 2016년부터 전통한지를 교과서에 공급하고 있다. 김천종, 강갑석, 김인수, 최성일 등 전주한지장 4인이 직접 제작한 전통한지, 색한지를 활용했다. 이 한지는 지도와 편지지 형태로 지역 사회교과서에 각각 삽입됐다.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과 연계해 수료증과 임용장, 표창장 등 상장을 제작할 때 전통한지를 사용하고 있다. 친환경 전주한지 벽지, 한지장판 등도 사용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전주한지로 만든 수의도 그 예다. 전통한지 수의는 전주한지장이 '줌치 한지' 형태로 종이를 떠서 수의디자인 업체에 납품해 제작한다. 한지수의 1벌 당 A4 크기 전통한지 약 550장이 사용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한지 #공예 #서예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