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9 01:40 (금)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문화마주보기
외부기고

‘튀는 전북’보다 ‘참한 전북’으로!

image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도시는 사람과 꼭 닮았다. 40년 도시 공부의 결론이다. 좋은 도시는 좋은 사람들이 만든다. 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마을도 지역도 다르지 않다. 좋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내가 먼저 좋은 시민이 되어야 한다. 도시의 수준은 그곳 시민의 수준과 정확히 일치한다.

전라북도가 지금 여기 사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고향을 떠난 사람들과 아무 연고 없는 사람들까지 와서 일하며 살고 싶은 선망의 지역이 되게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답은 하나다. 우리가 좋은 시민이 되는 것이다. 14개 시군으로 가르지 말고 모두가 ‘전북시민’이 되어 우리 전북을 돌보고 가꾸는 길밖에 없다.

꿈을 이루려면 목표를 잘 세워야 한다. ‘거리보다 방향’이란 말이 있듯 일들을 벌이기에 앞서 지향을 올바로 두어야 한다. 어떤 전북을 원하는가? 180만 전북시민 저마다의 지향과 목표는 다를 수 있다. 그러니 묻고 토론하고 모아야 한다. 다양한 꿈들의 합의점을 찾아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전북시민에게 묻고 싶다. 어느 쪽인가? ‘튀는 전북’인가? ‘참한 전북’인가?

2013년에 시민들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대중서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를 출간했던 이유가 있었다. 2000년대 초부터 서울과 전국의 여러 단체장들이 밑도 끝도 없이 ‘튀는 도시’를 향해 내달리고 있어서였다. 물려받은 자연도 역사도 없어 사막 위에 오직 '인공'으로 도시경쟁력을 키우던 ‘두바이’를 배우고 따르자며 우리 도시의 귀한 보물들을 경쟁하듯 지워갔다. ‘자해’가 횡행하던 참담한 시절이었다. 시드니에는 오페라하우스가 있는데 왜 서울 한강에는 없느냐며 ‘모방’과 ‘추종’에 여념이 없던 ‘자학’의 시대였다. 자괴감이 책을 쓰게 한 동기였다.

도시의 경쟁력 키우기는 사람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도시설계’는 아이들이 ‘인생설계’를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도시설계와 인생설계는 두 단계로 이뤄진다. 첫째는 기본을 튼튼히 갖추는 일이다. 어느 도시 어느 사람이든 마땅히 해야 할 이를테면 ‘보편 전략’이다. 제아무리 학력과 외모가 출중하다고 해도 기본이 엉망이라면 누가 그를 귀히 쓰겠는가? 도시도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먼저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도시에서 살고 일하며 오가고 쉴 수 있도록 단단하고 촘촘한 도시의 기본을 갖춰야 한다. 남들에 뒤처지지 않게!

두 번째 할 일은 나만의 강점을 살리고 매력을 드러내는 일이다. 다른 사람 다른 도시에 없는 나의 정체성을 알고 이것을 활용해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다. 남들보다 빼어나게! 이를테면 ‘차별화 전략’이다. 정체성이 곧 경쟁력이다. 남들 따라 하기는 답이 아니라는 얘기다. 전북 지역 발전의 목표를 세우는 일도 다르지 않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기본’을 먼저 다지고, 전북만의 매력과 강점 즉 ‘정체성’을 살려 사람들을 초대하는 것이다.

재작년 네 곳 로컬에서의 한달살이 뒤 수없이 받았던 질문은 “어디가 가장 좋았는가?”였다. 나의 대답은 이랬다. “하동은 고요했고 목포는 흥미진진했으며 강릉은 상큼했다. 그리고 전주는? 전주는 도시도 사람들도 따뜻했다.” ‘따뜻함’도 어쩌면 전북의 특별한 매력일 수 있다. 또 있을 것이다. 다른 데 없는 이곳만의 강점들이.

가식 없이 진실되고 기본이 반듯하며 고유한 매력을 지닌 사람을 우리는 ‘참한 사람’이라고 부른다. 우리 전북도 그랬으면 좋겠다. ‘튀는 전북’보다 ‘참한 전북’이 되자!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석 #문화마주보기 #'튀는 전북' #'참한 전북'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