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생 인류의 윤택한 삶은 과거 고통에서 이어진 부조리한 현실 극복 의지, 개선 노력의 결과이다. 힘든 노동을 대체하기 위한 지능, 굶주림에서 벗어나려는 처절한 의지, 인간됨의 잣대에 맞지 않는 야만과 폭력으로부터의 저항까지. 결국 인류는 ‘우리 삶은 (과거보다, 지금보다) 더 나아야 한다’의 집단 의지로 지금에 와 있는 것이다. 진보와 발전에 대한 믿음, 편하고자 하는 순수 욕망이 지금의 인류를, 문명을 만들었다. ‘더 나은 삶’이 희망이고 인간의 존재 이유(였)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이 분야의 대표 국가이자 증명 사례다. ‘더 나은 삶’을 위한 투쟁에서 가장 빠르고 드라마틱하게 ‘눈부신 발전’에 도달한 국가이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와 비슷한 국가에 비해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가장 적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가장 많다. 대한민국은 전 인류에게 ‘눈부신 발전’에만 몰두하면, ‘행복’이라는 가치가 사라지고, 결국 인구 소멸로 멸종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는 사례이기도 한 것이다.
과학기술과 문명이 진보를 가져온다는 믿음으로 달려온 인류는 21세기의 시작부터 바이러스 펜데믹과 전쟁, 기후위기, 극도의 빈부격차로 신음하고 있다. 성장을 위해 인류가 잔인하게 파헤쳤던 지구는 인간에게 더는 내주지 않고 인간이라는 종을 멸종시켜버리겠다고 맘먹은 듯하다. 과학기술이 이 문제 역시 해결해 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인공지능에게 물어보았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인류의 미래는 매우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인류는 기후 변화, 인구 증가, 자원 고갈,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갈등 등의 다양한 문제를...(중략)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기술의 발전과 혁신, 지속가능한 발전, 국제적인 협력과 평화 등을......”
영화 <그녀(2013)>와 <칠드런 오브 맨(2006)>은 인류의 미래를 동전의 양면처럼 비춰준다. 전자는 기계와의 사랑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매력 없는지를, 그럼에도 우리 미래는 꽤 괜찮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후자는 멸망이 예정된-바이러스로 인해 더 이상 새로운 인류가 태어나지 않는 디스토피아를 다룬다. 소수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통제 권력과 저항 세력 사이에서 기적처럼 태어난 최후의 인류를 보호하려는 아찔한 줄타기가 이어진다. 영화는 자연스레 각자도생에 빠진 젊은 세대와 창피한 줄도 모르고 부의 축적만이 유일 목표인 기득권이 투쟁하는 대한민국의 미래와 겹쳐지고, 영화 <다음 소희(2022)> 속 현실로 연결된다. 기득권은 젊은 세대들을 상대로 온갖 사기를 치면서, 노력과 성실의 가치를 모른다며 무기력과 좌절감의 가스등 켜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생명을 빼앗는다. 전주에 사는, 계약직 콜 센터 수습직 고등학생 소희와 그 다음 차례가 될 또 다른 소희의 죽음은 이래서야 다가올 인류 미래 따위는 좋을 리 없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발전이나 진보’가 아닌 ‘생존 최우선’의 인류가 반격을 시작한다. 먹고, 자고, 입는 모든 생산과 소비 영역에서 잉여와 착취를 통한 이윤창출이나 가성비 우선이 아니라 지구에게 온전한 방식이 무엇인지를 먼저 따지는 인류. 자본과 시장을 믿은 결과가 인류 전체 재산의 절반 이상이 1%의 소수 개인의 몫이 된 상황에 저항하는 인류. 기득권의 탐욕과 권력욕을 감시하고 처벌하는 인류. 인류 역사의 진보와 발전에 따른 부작용을 몸소 감내해야 하기에, 그래서 모든 것을 새롭게 시도해야만 하는 인류. 진보보다 생존이 우선인 인류. 바로 이들이 우리의 미래이자 현재다.
/박형웅 전주대 실감미디어혁신공유대학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