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새만금 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이 발표된 후 36년! 요즈음 새만금이 요동치고 있다. 지난 5월 3일 서울에서 전라북도 특별자치도 국민지원 위원회 및 이차전지 특별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내년 1월 전라북도 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에 사활을 건 출범식이다. 김관영 지사의 첫마디는 “새만금에 땅이 없습니다” 였다. 기업들이 새만금에 들어오겠다고 러브콜을 보내 오는데 전세 내줄 땅도, 임대할 땅도 없다는 것이다. 새만금개발에 대해 수십 년 동안 공허한 말을 들어왔던 터라 향토기업인의 한 사람으로서 가슴이 뭉클했다. 땅은 얼마든지 있으니 제발 전북에 MOU만 이라도 하자고 하며 읍소에 가까운 사인을 기다렸던 지난날의 자존심이 자존감으로 위로받는 순간이었다. 격세지감이 느껴졌다.
3조 이상의 역대 최대의 투자 규모를 자랑하게 된 새만금이 대한민국 이차전지의 중심 메카로 도약중 이다.그런데 우리의 아들딸들이 일할 곳이 생겼다고 하면서도 걱정스런 마음은 어쩔 수가 없었다. 애들들이 먼 곳까지 일한다고 올까? 필자는 얼마 전 서울의 모 대기업의 인력 현황을 들을 수 있었다. 청년 초임 연봉이 중소기업 수준의 초봉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관계자를 통해 듣고서 적지 않게 놀랐다. 청년 채용에 구애받지 않을 뿐 아니라 중소기업 초봉과 비슷한데도 채용이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이유인즉 대기업이라는 회사의 간판 때문에 다닌다는 말을 들으니 이해가 되었다. 내면에는 월급보다는 서울이라는 세계 최고의 도시 공간 속에 존재한다는 공유적 존재감, 이러한 것들이 젊은이들을 빨아들이고 있는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물질적 풍요보다는 일과 삶의 균형의 가치를 즐기는 청년들을 탓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제 군산의 새만금으로 가보자. 이젠 땅이 없을 만큼 기업 유치는 성공적이다. 그간 풀지 못했던 산업의 거대한 공약 1호를 김관영 도지사는 풀어가고 있다.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또 하나의 숙제를 풀어야 한다. 바로 청년들을 붙잡아야 한다. 수백 번 말해도 당연한 것은 정주 여건 조성의 인프라 구축이다. 생활환경등의 여러 조건 중에 교통이 최우선이다. 군산역은 1915년에 개통되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철도를 중심으로 일본으로 쌀을 수탈하기 위한 철도의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100년이 지난 지금은 철길 마을이 씁쓸한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지만, 이제는 교통과 물류의 중심으로 연결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호남 최대의 교통 요충지는 어디인가? 바로 익산역이다. 익산역의 사촌은 군산역이 되어야 한다. 필자는 지난 칼럼을 통해 전국의 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발전된 몇몇 도시를 소개한 바 있다. 광주 송정역 주변의 자동차 연구단지, 동대구역 주변의 창업 벤처 단지등은 모두 KTX 중심 지역 이었다.청년들이 돌아왔고 투자자들이 왕래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모두의 공통된 교집합은 교통과 정주여건을 갖춘 환경이다. 이제는 새만금 KTX 교통 역사를 준비하고 만들어야 한다. 청춘열차를 타고 청년들과 바이어들이 넘나드는 새만금 KTX 열차를 상상해보자. 새만금에서 만든 이차전지를 싣고 나르는 수송열차는 그저 덤일 것이다. 서울역에서 새만금행 KTX를 타고 종착역에서 내려보자.일제 강점기의 수탈의 아픈 역사를 군산의 철도는 알고 있다. 이젠 새만금이 대한민국과 세계의 먹거리를 수탈할 차례이다. 그리하면 군산 밤바다를 불러보는 청년들은 차고도 넘쳐날 것이다.
/임동욱 이노비즈협회 전북지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