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2:24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김용호 정읍시립국악단 단장 전통문화바라보기] 거문고의 명인 고(故) 강동일

image
강동일 육필 산조 육보/사진=김용호 단장 제공

거문고의 명인 강동일의 예명(藝名)은 동완(東完)이며 1928년 11월 20일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하리 603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강동일은 유성옥(柳性玉)으로부터 1개월간 거문고 풍류를 배웠다. 유성옥은 방금선의 형부로 짧은 학습 기간이었지만 선비 음악의 정수(精髓)를 어린 강동일에게 심어주었다. 방금선은 거문고산조의 창시자인 백낙준에게 산조를 전수한 신쾌동의 여제자로서 스승의 선율을 곧바로 이어받은 인물이다. 강동일은 방금선과의 짧은 전승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산조를 구사했다는 것은 그의 천재적 음악성을 익히 알 수 있는 부분으로 자기화를 통해 음악적 완성도를 높였다. 이후 자신과의 음악적 고뇌를 통해 그는 성숙해졌고 20∼25세 때 신쾌동과 한갑득을 만나 수련하고 자신만의 거문고산조를 정립하여 그의 예술세계를 구축했다.

강동일은 1959년 32세에 성금연으로부터 가야금산조를 사사하고 음악적 역량을 키웠다. 이후 조금행 국악원에서 3년간, 임춘앵 국극단에서 10년간, 김진진 일행에게 3년, 박미숙 단체에 1년 등 창극 반주를 맡아 생활했다. 1960년대 들어오면서 강동일은 김윤덕(金允德)으로부터 가야금을 익혔고 1963년에는 아쟁을 택하여 혼자 수련하기도 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전주국악원 강사를 역임했다. 1978년에는 제4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 거문고산조로 출전하여 차하로 입상하였고 다음 해인 1979년에 이어 출전하여 차상을 받았다. 세 번째 도전이던 1980년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 기악부 장원을 비로소 거머쥐고 명인 반열에 오른다. 이후 강동일은 재능을 인정받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가 된다. 이렇듯 강동일은 생전 자신만의 독자적인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제자들에게 계승하지 못했다. 그 사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먼저 그의 연주 능력을 전수할 만한 제자가 없었으며 또한 쉽게 자신의 예술적 자산을 전승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품은 매우 온순하고 정직하며 강직하셨던 분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품으로 자신의 예술적 기량과 자료를 경제적인 요건에 결부시키지 않았으며 제자의 능력에 따라 바르게 전승하고자 노력했다. 

강동일은 거문고 이외에도 가야금을 잘 탔고 흥이 나면 병창을 부르는 일도 많았다 한다. 아쟁도 연주했으며 가야금을 이용하여 개나리 활대로 연주하는 모습에 제자들이 놀란 일화도 있다. 이렇듯 강동일의 천부적인 음악성은 모든 이를 감동하게 했고 그를 “신금(神琴)을 울리는 명인”이라 지칭하기도 했다. 하지만 강동일의 천부적인 재능은 올곧게 다 전승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아쉬움을 남긴 채 잊혀가고 있다. 이제 남겨진 그의 주법, 가락과 악보를 바탕으로 다시금 강동일이란 한국 민속악의 거문고 명인은 재조명되어야 하겠으며 많은 연구 또한 지속하여 그가 남긴 음악과 자료가 국악사에 길이 남는 유산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거문고 #명인 #강동일 #육보 #전라북도 #국악 #국립국악원 #학예연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