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7:10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푸른 용의 해

image

올해는 60간지(干支) 중 41번째인 ‘갑진(甲辰)년’으로 푸른 용의 해다. 십간(十干)을 오색(五色)으로 설명하면 갑을은 푸른색, 병정은 붉은색, 무기는 노란색, 경신은 흰색, 임계는 검정색(甲乙 靑, 丙丁 赤, 戊己 黃, 庚辛 白, 壬癸 黑)으로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색용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신비롭고 조화가 무쌍한 것으로 알려진 ‘청룡’이 유명한 반면 중국에서는 ‘황룡’이 유명하다. 그래서 궁궐 등 대궐에서는 밖과 내부 모두가 노란색으로 장식된 것은 물론 임금이 타고 다니는 가마도 완전한 노란색이다.

 용은 거북, 기린, 봉황과 함께 네 가지 영수(靈獸)로 유명하다. 그중 용은 물을 관리한다 하여 기우제나 지우제 때면 꼭 용왕을 찾아 각별한 정성을 모아 기도를 올린다. 용은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중국 등 문명의 발상지 어디에서나 상상되어 온 동물로서 신화나 전설의 중요한 존재로 등장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서도 큰 몫을 차지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초기부터 조선조 숙종(1714) 때까지 사이에 무려 29차례나 용의 출현에 관한 기록이 있는가 하면 서해 용왕이 고려왕 왕건의 할아버지 작제건(作帝建)에게 ‘그대의 자손들이 동방의 명왕이 되고 싶다면 세울건(建)자가 붙은 이름으로 3대를 거쳐야만 할 것이다’라고 일러 주었다 하며, 용이 물을 많이 주지 않을 경우 흉년이 든다고 믿고 있기에 용을 수신(水神)이라고도 한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민족에 따라 또는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이나 기능이 조금씩 달리 파악되어 왔다. 이에 따라 그 조각이나 묘사 역시 차이를 보여 왔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해온 용은 대개 중국인들이 상상하였던 용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문헌인 ‘광아익조’에 용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는데 용의 머리는 낙타와 같고, 뿔은 사슴, 눈은 토끼,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했다. 이처럼 여러 동물의 장점을 갖고 있다 하여 영수로 꼽히고 있는 것이어서 성취와 수호의 동물로 치부되고 있다.

 철학관에서 깊이 믿고 있는 삼재(三灾)가 있는데 갑진년에는 인, 신, 유,(寅,申,酉)년생은 행운이 충만한 해로, 노력하면 매사가 소원 성취하여 결혼․취업․승진 등의 영광이 있을 것이며, 반대로 자, 진, 신(子,辰,申)년생은 모든 것이 거꾸로 돌아가는 해로서 조심에 조심을 거듭해야 삼재를 피해갈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신(申)년생과 같이 길, 흉이 겹치는 경우에는 극과 극이 혼재되어 아주 잘되는 경우와 잘못되는 수가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예로부터 과거시험 등 어려운 시험을 ‘등용문’이라 했다. 등용문은 중국의 황하에서 시작되어 산서성에 이르면 3단계 폭포를 경유하게 되는데 그곳을 용문이라 하며, 잉어가 그 용문을 올라가면 용이 된다고 하여 입신출세의 관문을 등용문(登龍門)이라 한다. 또 사람이 출세하면 ‘개천에서 용 났다’고도 한다.

 아무튼 용자가 붙으면 좋은 표현이 따른 것을 보더라도 갑진년인 올해는 행운의 해가 틀림없을 것인즉, 국태민안(國泰民安)하기를 바란다.

/ 양복규 (동암법인 이사장, 명예 교육학박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진년 #청룡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