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46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그곳에는 70대의 청년이 살고 있다.

퇴임 후 진전마을 고향으로.

image
장하열(철학박사, 산서도서관운영위원장)

퇴임 후 지체 없이 어머니가 사시던 빈 고향집으로 직행하였다. 나의 고향은 장수군 산서면 진전(참밭) 마을이다. 원래 이곳 태생인 나는 불평없이 정착하여 6년째 살고 있다. 부모님이 살던 집에 그냥 몸만 들어와 논밭을 일구면서 살아오고 있다. 조상대대로 해가 뜨면 논밭에 나가 일하고 해가지면 들어와 살아오던 이곳은 물이 맑고 공기가 구수한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이다. 60년 만에 돌아와 몇 년을 살아보니 농사 외에도 할 일이 많은 넓은 사회가 있었다. 삭다리 꺾어 불을 지피면 굴뚝 연기가 동네로 피어난다. 연기 따라 마을 집집을 찾아 나서며 우리 주민들과 친밀한 관계를 위해 대화의 장을 마련해본다. 개인적으로는 건강 안부와 자녀들의 이야기며 애로사항을 들어본다. 주민들과 마을 회관에서 공동식사를 하면서 동네 이야기와 농사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곤 한다. 

주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아직도 때 묻지 않고 순수한 농촌이 여기에 있었구나! 하늘을 우러러 모시고 땅을 의지하며 순박하게 살아온 농민들 앞에 내가 오히려 오염 덩어리 인 것만 같아서 한동안 고개를 숙인 채 살아 왔다. 새마을운동 이후로 더 이상 외면상 개발한 흔적이 거의 없는 참밭(眞田)마을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부터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었다. 대다수가 농촌이었던 당시에는 초가지붕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며 농가 소득을 올려서 잘 살아 보세! 라는 기치를 내걸고 온 국민이 하나 되어 나아가는 농촌 발전의 사회운동으로 그 위상을 떨쳐 왔다.

김준 원장을 중심으로 새마을 정신인 자주, 자립, 협동 새로운 가치를 앞세워 새로운 바람이 불었다. 그 당시 나는 대학 2학년이었다. 나는 호국단 체제의 총학생회의 새마을부장으로 일하면서 대전 공무원교육원에서 김준 원장의 주도로 시행하는 전국 대학생 대표들과 새마을 교육을 받았다. 거기에서 중요한 것은 마을주민들의 협동정신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당시 마을 주민들은 마을길을 넓히기 위해 자기 소유의 땅을 아낌없이 내어 놓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도로를 만들었다. 마을공동체 의식으로 협동정신을 자발적 희생까지도 감수하며 실천 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다.

그 당시 마을 농가호수는 최고 40호를 육박했으며, 면민체육대회 때는 나와 20여명의 또래 청소년들이 축구, 배구, 육상선수로 나가 시합에서 1등을 차지하기도 했던 위풍당당한 마을이었다. 아직도 마을 회관 방 벽에는 그때 받은 빛바랜 상장이 붙어있다. 80년대부터 마을의 젊은이들은 산업화, 도시화 바람으로 한정된 땅에 더 이상 기대 하지 않고 산업 현장 직장 따라 도시로 나아갔다.  

고향에 남은 부모들은 고령의 나이로 해오던 농업을 중심으로 논밭을 일구면서 현재에 이르고 보니 산업화의 물결로 의식주는 열렸어도 부모들은 노쇠하고 고향 떠난 젊은이들이 노인이 되어도 귀촌하지 않아 노동력은 약하고 공동체 의식도 옛날보다 약화하였다. 근래에 마을 거주민도 원거주민 7가구 12인, 귀농 귀촌인구는 4가구 11인, 귀향인 4인으로 총 27인이 거주하고 있다. 원주민과 귀향인과의 화합공동체 의식이 매우 요구되며 이는 한국 농촌부락들이 겪고 있는 커다란 과제가 되고 있다. 농촌 부락의 과소화로 인한 노동력 문제와 공동체생활문화는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이다. 

/장하열(철학박사, 산서도서관운영위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하열 #70대 청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