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강연을 다녀오는 길에 기차를 탔다.
과거에 기차를 떠올리면 달걀, 가락국수, 구멍 뚫린 차표 같은 것이 떠오르는 반면, 오늘날 기차를 타면 보이는 건 99% 스마트폰(나야 수중자판기(手中自販機라는 표현을 고집하지만, 다른 분들이 모르실 것 같아 어쩔 수 없이 상품을 개발한 자가 팔기 위해 붙인, 장사용 명칭을 그대로 쓴다)이다.
오늘날 기차를 타면서 느끼는 또 다른 하나는 시간 관념이다. 초등학교 때 서울 유학 중 고향 군산에 가기 위해 탄 장항선은, 기억이 맞다면 적어도 6시간 이상을 달렸다. 오늘날 KTX는 전주까지 2시간이면 족하다. 그런데 왜 오늘날 기차가 훨씬 지루한지 모르겠다. 더 빨리 다가오는 풍경과 더 빨리 사라지는 풍경은 파노라마적인 경험을 주어야 할 텐데, 전혀 그렇지 못한 듯하다. 경험이 카이로스로 승화되지 못한 채 죽은 크로노스의 시간에 멈추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잘 모르겠다. 여하튼 호두과자 상인도 없고, 이동식 매장을 끌고 다니는 종사원도 없는 요즘 기차는 참 지루하다. 그래서 모두 수중자판기, 아니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건지도 모르겠다.
아차! 이런 꼰대 같은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었는데......
앞자리에 붙은 주머니에 잡지가 한 권 꽂혀 있다. 서둘러 꺼내 본다. 그러자 몇 가지가 나를 놀라게 한다.
우선 정말 잘 만든 잡지인데 보관 상태가 너무 깨끗하다. 공중이 사용하는 물건이 이토록 깨끗한 경우는 흔치 않을 것이다. 그것이 책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 시민 모두의 공중도덕 관념이 향상되어서라면 참으로 좋을 텐데....... 그런 건 아닐 것이다. 2년 전인가? 나라를 다스리겠다고 나선 한 사람이 기차 앞좌석에 구두를 신은 채 발을 턱 걸쳐 놓은 모습을 보고 경악한 적이 있었다. 대한민국을 통틀어, 아니 전 세계를 통틀어 다른 사람이 앉을 게 분명한 좌석에 구두를 신은 채 발을 올려 놓을 사람은 내 다섯 손가락으로 꼽기에도 부족할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행동을 문제삼는 이는 국민의 절반이 안 되는 듯하다. 그러니 시민 의식 덕에 책이 깨끗이 보관되는 것은 아니리라.
그렇다면 승객 대부분이 수중자판기에 관심을 집중하고 책은 멀리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충분히 이해가 간다. 그렇다고 해도 정말 안타깝다. 이렇게 잘 만든 책이 이렇게 도외시되다니! 한 5분에 걸쳐 펼쳐만 보더라도 삶에 도움이 될 텐데. 특히 승객이 젊은이라면 더더욱 그럴 텐데. 왜?
우선 디자인이 워낙 뛰어나다. 그러니 넘겨만 보더라도 디자인적 감각을 키울 수 있다. 국내 여행지 순례부터 맛집 탐구, 나아가 전국의 행사 정보까지 신나는 것 투성이다. 그런 정보 구하려면 열심히 검색해야 하지 않나? 반면에, 책 한 권 다 넘기는 데 고작 5분이면 족하니,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이른바 크로노스 시간의 카이로스화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를 더욱 감동시킨 것은 따로 있었다.
<‘책 향기 따라’-전북 전주에서 특별한 테마로 꾸민 작은도서관에 들렀다>라는 내용으로 시작하는 기사다. 사진은 또 왜 이리 멋진가! 학산숲속시집도서관, 서학예술마을도서관을 가진 주민들은 선택받은 시민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런데, 이런 도서관 여행 프로그램을 매주 토요일 운영한단다. 이런 문화적인 일이!
그래! 이번 토요일에는 시간을 내는 거야. 그래서 학산숲속시집도서관에 가서 백석 시 한 편 필사하고 와야지.
/김흥식 도서출판 서해문집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