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비해 지역민 삶 속 스며들지 못하는 지역 예술 생태계에 안타까워...문턱 낮은 미술관 필요성 절실"
"환경과 미래에 대한 이야기 담긴 창작품과 같이, 앞으로도 일상의 이야기 녹여낸 작품 창작하며 창작활동 이어갈 것"
한 예술가가 창작해 낸 작품에는 개인의 감정은 물론 생각과 사상 등이 담겨, 작가의 내면세계를 외부로 드러내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는 이 수단을 노래로, 연극으로, 연주로, 영상으로 선택해 예술로 승화해 내지만, 새하얀 화폭을 알록달록한 물감으로 채워내고 있는 이보영 작가(40)가 선택한 수단은 ‘회화’다.
그림을 사랑하는 마음 하나로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한 이후 꿋꿋하게 예술가의 길을 걷고 있는 이 작가를 7일 만나 그녀의 창작 과정, 영감의 원천, 그리고 현대 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언제부터 그림을 그렸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작가는 ”그냥 어렸을 때부터 했다“고 대답하며, 인터뷰 시작과 동시에 식으려야 식을 수 없는 그림에 대한 사랑을 보여줬다.
그는”평범한 부모님 밑에서 자라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그냥 그림이 좋아서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했고, 그 길로 대한 전공도 미술학으로 정하게 돼 20여 년의 세월을 붓을 잡게 됐다“며 ”지금껏 그림을 그려오며 순탄한 길만 걸었다면 거짓말이겠지만, 이 길을 포기하고 싶었을 때마다 그림 작업을 해야 하는 길로 (삶이) 계속해서 유도돼 왔던 것 같다“고 말했다.
꾸준한 작품활동으로 수많은 개인전과 더불어 단체전과 교류전에 참여해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 가고 있는 이 작가에게 항상 아쉬웠던 점은 양질의 문화예술계 직업군의 ‘부족함’이었다.
작가는 ”지역 작가들이 계속해서 수도권으로 향하는 이유는 창작활동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싶은 마음에서다. 작가들이 작품활동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능력’ 역시 뒷받침돼야 하지만, 지역 문화계는 예술가의 전공을 살려 일할 수 있는 직업군이 많이 부족해, 어쩔 수 없이 많은 청년 예술인이 등을 돌린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와 같이 그림을 공부했던 제 주변의 친구들 역시 양질의 직업을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가, 지역을 지키는 젊은 작가들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앞으로 지역 내에서 성장할 젊은 예술인이 지역 사회를 떠나지 않고도 창작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이같이 어려운 지역 예술 생태계를 인지하고 있는 이보영 작가였지만, 앞으로의 포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그럼에도 작품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며 지역 예술계에 보탬이 될 것을 약속했다.
그는 ”어렵다고 포기했을 거면 진작에 포기했을 것 같다“며 ”지금까지 작업해 왔던 대로 저는 저만의 자리를 지키며 지역 간판 작가로 성장할 때까지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말했다.
전주 출생인 이보영 작가는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해 동 대학원에 진학해 미술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전주와 서울, 뉴욕 등에서 17번의 개인전을 비롯해 Parts of a Whole, 경계를 넘어서, 1980년대와 한국 미술, 전북미술의 오늘전, 청년작가전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또 그는 <2016 광주신세계미술제 선정작가>, <2020 전라청년미술상> 등 많은 수상 경력을 갖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