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인력을 활용하자
'아들딸 구별말고 둘만 낳아 잘기르자' 초중등시절 길거리 어디서나 필자가 흔히 볼 수 있는 구호였다. 당시는 국가적으로 식량은 부족하고, 625동란 이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자 정부에서 적극적인 산아제한 정책을 펼치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바뀌어 우리나라는 1983년 이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가임여성 1인당 출산율이 1.3명 이하이면 저출산 국가에 속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2001년부터 저출산 국가에 진입하였다. 또한, 통계청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이 현재 11.8%에서 2060년에 40.1%로 늘어난다고 한다. 이러한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될 경우 생산가능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어짐에 따라 젊은층의 부담은 커지고 경제성장은 하락하여, 말 그대로 '인구 재앙'을 야기시킬지도 모른다.전북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저출산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전북의 출생아수는 2010년 16,000명으로 1970년대 초반과 비교해 35.4%가 감소한 반면, 노령인구 비율은 우리나라 전체 비율을 상회하는 15% 이상을 차지해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7월 11일을 '인구의 날'로 지정하고, 범 국가적인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을 수립하는 등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미래 인구부족 대응에 힘쓰고 있다. 이 기본계획에는 임신출산 지원뿐만 아니라, '일-가정 균형 일상화', '결혼-출산양육 부담 경감'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원정책을 담고 있다.하지만, 아쉬운 점은 저출산 고령화 대응 정책의 기조가 출산율 증대에만 있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당장 2018년부터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인 노동공급의 축소와 경제 저성장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부족하다.단기적으로 다문화 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다. 2011년 6월 행정안전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다문화 가족은 전국적으로 127만명이라고 한다. 이는 전국민 인구 대비 2.5%이며 2010년 114만명보다 11% 증가하였다. 다문화 가족의 출신 국별로는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국적 비율이 가장 높고 베트남, 필리핀, 태국 등 동남아시아 비중이 다음이며 남부아시아와 일본 순이다.전라북도에도 도민 대비 2.5%인 3만2천여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10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 외국인 배우자는 혼인귀화 2천여명 포함 8천여명으로 추산된다.전북지역이 여타 지역에 비해 다문화 가족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 착안, 전라북도와 무역협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다문화 가족을 활용하여 도내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을 지원해오고 있다. 동 사업은 해외이주여성을 무역전문가의 멘토링지도와 무역실무교육을 통해 무역전문인력으로 양성한 뒤 모국의 바이어를 찾아 도내 수출업체와 연계시켜주는 사업이다. 다문화요원의 활발한 마케팅 지원에 힘입어, 올해 진안 소재 기업이 농식품관련 일본 시장 개척에 성공하였고, 전주 소재의 한 식품기업도 러시아 바이어를 발굴, 수출 계약까지 성사되었다다문화 가족을 무역전문인력으로 육성하여 미래 노동인력 창출과 수출 기업의 무역 인력 채용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가족에게는 단순 현지어 강사 위주의 취업에서 무역 전문 인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한국과 다문화 모국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경제적인 면 뿐 아니라 외교적인 강화에도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