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 된 송하진 전 지사...거침없이 쓴 서예, 초대전 연다
‘송하진’ 이름 옆에는 보통 행정가, 정치인이라는 말이 어울릴 거다. 직업공무원과 민선 시장, 도지사를 역임하며 평생을 정치행정가로 살아왔으니 말이다. 하지만 더 이상 정치행정가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글과 그림으로 세상에 말을 건네는 서예가 ‘푸른돌‧취석(翠石) 송하진’으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과 10월 1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전주현대미술관에서 서예가로 첫 걸음을 내딛는 송하진 작가를 9일 전주현대미술관에서 만났다. 그는 ‘거침없이 쓴다’는 초대전 주제처럼 서예에 대한 확고한 철학과 자신만의 신념을 풀어냈다. 과거의 법칙이나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거침없이 쓰는 서예, 이는 곧 한국서예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한국 고유의 색을 잃지 않아야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취석 송하진, 그 신념의 원천이 궁금했다. 이번 초대전은 서예가로 돌아온 송하진 작가가 단련해 온 한글서예의 놀라운 조형성과 가능성을 선보이는 자리다. 서예가로 변모한 그가 전시에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서예의 대중성과 한국성, 그리고 세계성이다. 오랫동안 이 같은 문제를 고민해왔기에 그는 새로운 소재와 장법(章法), 결구(結構)로 독특한 형상성 그리고 조형성을 연구해 완성한 105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에 앞서 작품 220점을 수록한 작품집도 발간했다. 취석 송하진 작가는 “개인적으로 오늘날 서예가 흔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서예에 대한 고민들을 응축해 작품으로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의 방식이나 형식, 틀에 얽매이지 않고 쓰는 서예로 서예의 아름다운 개념을 ‘거칠고 흩날리는 자유분방한 글씨’로 확장시켜 예술의 한 장르로 뻗어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가 이토록 서예에 진심이 까닭은 부친 강암 송성용 선생의 영향이 크다. 한국서예를 대표하는 대가이자 오늘날 서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로 취석은 유소년기와 청년기 등 성장하는 내내 매일같이 서예와 한문을 보고 들으며 자랐다. 생활 속에서 서예가 자연스럽게 눈에 젖고 귀에 물들면서 ‘목유이염(目濡耳染)’의 저력을 갖게 된 셈이다. 실제 그는 50대 중반까지 전‧예‧행‧초서의 5체와 사군자에 이르기까지 작품의 다양성을 중시했고, 여느 서예가와 마찬가지로 중국 서예가들의 비첩을 주로 공부했다. 하지만 정치의 길에 들어서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일반 시민이 쉽게 접근해 서예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고민이 생긴 것이다. 송 작가는 “한옥마을에 가면 한문 현판이 하나 있다. 초등학생 고학년으로 보이는 아들이 자신의 아버지에게 한문 현판을 가리키면서 ‘무슨 글자야?’ 이렇게 물었는데, 아버지도 한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며 쩔쩔맸던 광경을 목격했었다"며 "그때 ‘서예가 아무리 작품이라 할지라도 사람들이 읽지 못하면, 외면받겠구나’ 생각했고, 저부터 한글이 주인이 되는 서예를 써야겠다고 다짐하게 됐다"고 회상했다. 이 같은 경험을 토대로 취석은 서예에 대한 철학을 완전히 새롭게 정립했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한글의 어순에 맞게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쓰는 서예, 한국적 느낌과 분위기가 우러나는 한국성을 추구한 서예, 현대건축물과 서예작품의 조화를 고민한 작품들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테면 ‘물’이라는 한 글자는 언뜻 보면 그림 같기도, 글씨 같기도 하며 ‘출렁출렁’, ‘넘실넘실’, ‘꿈틀꿈틀’ 등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한 작품은 서예를 멀리하는 젊은 층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그가 제시하는 새로운 방법인 것이다. 취석은 “예술은 자유의지의 표출이라고 생각하다”며 “서양화나 추상화가 예술가의 정신적 자유로움을 표현하듯이 서예도 예술의 한 장르로서 자유로운 정신을 표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예의 새로운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꾸준히 작품활동을 할 계획”이라며 “젊은 층에서 서예를 보다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꽃’, ‘달’, ‘꿈’ 등 한 글자 작품을 선보이는 등 서예 대중화에 앞장서겠다"는 다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