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시공원을 가다] ③샌디에이고 발보아파크·뉴욕 하이라인
▲ 샌디에이고 발보아 파크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자랑, 발보아 파크(Balboa Park)는 오는 2015년이면 100주년을 맞는다.발보아는 태평양을 처음 발견한 스페인 탐험가의 이름이다. 스페인의 풍취를 담은 이 공원은 그만큼 오랜 역사 유산 위에 서있다. 내부 곳곳에 다양한 문화시설이 들어서 시민과 관광객들이 언제나 쉽게 찾고 있다. 끝없이 펼쳐진 아름다운 산책로와 다채로운 문화 콘텐츠를 담은 미국내 가장 큰 도심 '종합문화공원'이다.발보아는 기획된 공원이 아니다. 샌디에이고 다운타운 동북쪽에 있는 4.9㎢의 발보아 파크는 1868년 '시립공원(City Park)'에서 출발했다. 1800년대 후반. '발보아 파크의 어머니'로 불리는 원예가 케이트 세션스(Kate Sessions) 등 일부 주민들이 멕시코와 인접한 황무지이자 건설자재 등 쓰레기가 뒹굴던 이곳에 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현재 서식중인 식물의 65%를 기후가 유사한 지중해 인근에서 가져다 심었다. 당시에는 시의 허가도 없이 아름다운 분수를 만들기도 했다.1915년에 중앙 아메리카를 관통하는 파나마운하의 개통을 기념하는 캘리포니아박람회를 개최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심 대공원으로서의 기틀을 잡기 시작했다.당시 박람회를 위해 임시로 지은 건물들은 허물어질 운명이었다. 그러나 제1차세계대전이 터지면서, 군에서 참전군인을 수용할 건물이 필요하게돼 철거의 운명을 피해갔다. 이어 리모델링 과정을 거쳐 주변의 수목들까지 고스란히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샌디에이고 시가 운영중인 발보아파크에는 미술관, 루벤플릿 과학센터, 자동차박물관, 인류박물관, 1874년에 세워진 자연사박물관 등 줄잡아 15개 주요 박물관이 있다. 박물관에서는 1년 내내 전시와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이벤트가 펼쳐진다. 덩달아 공원도 어른과 아이들로 들썩인다.공원 내 '샌디에이고 동물원'은 800여종의 동물 4천여 마리와 식물 6천500여종이 살고 있는 세계적인 동물원이다.발보아 파크에서 컸고, 일하고,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발보아 파크 레인저(공원관리인) 킴 듀클로씨는 "이곳에는 보고 즐기고 쉴 거리들이 곳곳에 널려 있다"며 "연간 방문객 수는 1천300만명을 넘어선다"고 소개했다.발보아 파크 일대는 1977년부터 국가역사경관지구(National Historic Landmark)로 지정돼 건물과 역사유적에 대한 보호를 받고 있다.샌디에이고시 공원·여가국 스캇 리스 부국장은 "공워 내에서 펼쳐지는 각종 이벤트는 2년전부터 예약을 받아 계획을 짜놓는다. 예측이 가능하니 수익을 내는 방안도 여러가지로 연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경설계가이기도 한 그는 "발보아 파크는 관광객 유입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철도박물관에선 70대의 자원봉사자들이 기차와 기찻길 등 모형을 제작·운용하고 있었다. 캐서린 하제나우어 문화이벤트 담당과장은 "24개 문화창작팀이 공예품을 판매하기 위해 제작활동을 하고 있고, 철도박물관의 할아버지들 뿐 아니라 공원관리를 맡고 있는 700여명의 해군장교 등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공원코디네이터의 관리 속에 공원에서 희망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공원운영은 민간에도 문이 열려있다. '발보아 파크 얼라이언스, 샌디에이고 재단, '시티 뷰티풀(City Beautiful)'과 같은 여러 비영리 민간단체가 식물원·산책로 표지판·가판대 관리·개인모금 등 업무를 분담해 '민·관협치(거버넌스)'에 동참하고 있다.▲ 뉴욕 하이라인허드슨강을 붉게 적시는 노을이 물들 무렵. 지난해 12월 15일 뉴욕 맨해튼 남서쪽에 자리 잡은 하이라인(High Line)에 올라섰다.맨해튼의 색다른 조망과 혼잡한 도시에서 갑작스런 평온함이 엄습해온다. 차가운 바람과 함께 이 도시에 대한 부러움이 가슴 깊숙이 들어선다. 건물 3~4층 높이의 버려진 고가철도 하이라인은 도시인과 관광객 모두를 쉬어가게 만든다.하이라인 프로젝트 총괄설계자인 필드오퍼레이션스 소속 설계가 황나현씨와 함께 지난 12월 15일 하늘정원 하이라인을 걸었다. 필드오퍼레이션스는 부산 하얄리아 시민공원 구상설계안을 맡았던 회사다.하이라인은 1930년대 뉴욕 맨해튼 남서부지역에 만들어져 1980년 이용이 중단된 고가철도를 공원으로 개조한 곳. 그런 과거를 보여주듯 하이라인 공원 콘크리트 바닥에는 철로가 그대로 놓여있다.공원 곳곳에는 바퀴가 달려 철로로 이동할 수 있는 나무벤치가 15개 가량 놓여 있다. 겨울이지만, 햇볕을 쬐는 시민들이 보였다. 평화로웠다. 곳곳에는 갈대류와 야생화가 철로와 벤치 사이 곳곳에 자라고 있다.허드슨강을 끼고 있는 하이라인이 개발되면서 세계적인 스타 건축가들이 이 주변에 건물을 짓고 있다. 구겐하임 빌바오로 유명한 프랭크 게리의 IAC빌딩, 장 누벨의 콘도, 프랑스 메츠에 퐁피두센터를 건축 중인 시게루 반의 콘도 빌딩 등도 즐비하게 늘어서기 시작했다.하이라인 위를 통과하는 스탠더드호텔도 눈길을 끈다. 공원 조성 결정 직전에 호텔건축허가를 받아 지금과 같은 형태가 가능했다는 설명이다. 하이라인 인근의 정육공장 등은 지금은 하나씩 레스토랑과 고급의류가게 등으로 리모델링돼 도심 재생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하이라인은 맨해튼 남서쪽 갱즈버그~20번가 길이 1.9km, 1단계만 완성됐다. 올해 내로 30번가까지 2공구 연결을 목표로 삼고 있다. 마지막 3공구는 소유주인 뉴욕시지하철공사와 분쟁 중이다. 지하철공사가 개발업자에게 임대권을 판매해, 업자가 고층빌딩계획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와 뉴욕시, 설계자는 하이라인을 연결시켜 공원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개발업자는 고층건물을 올리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설계가 황나현씨는 "하이라인 철거 이후 고층건물 개발을 추진하던 토지소유자와 개발업자, 세계적인 공원을 디자인하려는 설계자, 예산 및 향후 공원관리에 민감한 뉴욕시 당국, 고가철도의 공원화를 꿈꾸는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하나로 엮어내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밝혔다.하이라인 공원 조성 과정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이 역사성을 보존하기 위해 철거반대와 공원화를 주장했던 시민단체 하이라인의 친구들(Friends of the High Line·FHL).1999년 하이라인 철거 소식 기사를 접한 로버트 하몬드와 조슈아 데이비드가 역사성을 보존한 공공공간으로 활용할 것을 주장하며 FHL을 공동설립했다. 시를 상대로 소송까지 제기한 두 공동대표는 하이라인을 '버려지고 가치없는 위험한 장소'에서 '현대적이고 활기찬 공공도시 활동의 잠재성이 가득한 장소'로 전환시켰다. 결국 2003년 뉴욕시가 하이라인을 보존해 공원으로 개발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로버트 하몬드 공동대표는 "세 가지 목표가 있다"고 잘라 말한다. "첫 번째가 뉴욕시민(뉴요커)으로부터 사랑받는 공원, 두 번째가 많은 사람들이 꿈을 추구하도록 영감을 줄 수 있는 공원, 세 번째가 점점 더 좋아지는 공원"이 그것이다.FHL은 단순히 철거 반대 시위만 한 것이 아니었다. 경제학자와 공동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공원화 이후 지역주민에게 돌아가는 경제적 이익, 부동산세 상승에 따른 뉴욕시의 재정상 이익 등에 대한 전문적인 보고서를 제출했다.또 동식물에 대한 생태보고서를 발간했고, 유명 사진작가에게 의뢰해 하이라인에 대한 사진첩까지 발간했다. 사람들에게 하이라인의 경제적, 역사적, 생태적 가치를 알리기 위한 작업이었다. FHL은 뉴욕시 공원국과 파트너십을 맺고 하이라인을 함께 운영한다.필드오퍼레이션스 제임스 코너 대표는 "하이라인의 공원화 이후 주변지역의 부동산 및 경제 활성화가 급격히 이뤄져 부동산가격으로 인해 높아진 세금 이익이 공원조성 경비를 충당하고도 남았다"면서 "제대로 된 공원이 주변의 경제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취재 =박세익·이병철 기자(부산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