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고교학점제 형태 “대면, 비대면 혼합 형태가 가장 효율적”
전북지역 고교학점제 형태는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하는 온라인 플랫폼이 현실적일 것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공동대표 박세훈 정은숙 이경한)와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는 6일 오전 10시 30분 전북도의회 1층 세미나실에서 고교학점제 안착, 전북은 어떻게? 토론회를 열었다.
이경한 공동대표의 사회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임종헌 한국교육개발원 고교학점제 연구센터 소장은 발제를 통해 전북은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총론에 기반한 다양화는 온라인 플랫폼(온라인, 또는 블랜디드(대면, 비대면 혼합))을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임 소장은 이 같은 이유로 읍, 면 등 농어촌 지역에서는 교강사 지원의 한계로 대도시보다 불리할 것인데, 온라인 플랫폼과 함께 수업이 이뤄진다면 적정규모(중소규모) 고등학교에서는 보다 충실한 학생별 학생부 기록 등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적 특색을 살린 지역 교육과정 등의 적극 개발도 제안했다.
그는 생태나 해양, 한옥 등 지역에 맞춘 교육과정을 적극 개발해 캠퍼스 형 고교 구성이 이뤄진다면, 오히려 대도시 학생들이 지역 교육과정을 듣기 위해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도교육청 고교학점제 담당 김영아 장학사는 학교와 교육청은 공교육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시민사회는 대학입시를 따라가는 교육에서 지역의 미래인재를 기르는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 담론을 구체적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인 전주고등학교 이등 교사는 전북 지역의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풍부한 인적 자원의 확보가 필요하다며, 이를 지역 구성원 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 김정수 부위원장은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대학입시에 대한 변화가 그려져야 할 것을 언급한 뒤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지역교육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라고 했다.
이경한 대표는 고교학점제 시행의 다양한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우려도 만만치 않은 만큼, 교육인프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우선 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실질적인 과목에 대한 선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안착을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제시가 이뤄져야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