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혁신파크사업 또 다시 고배마신 전북대… 창의성·추진력·단합력 부재
전북대학교가 캠퍼스 혁신파크사업에서 또 다시 고배를 마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번 결과에 대해 전북대가 제시한 아이템이 다른 지역의 거점대학보다 사업성이 부족했다고 판단했다.
여기에 전북지역의 고질병으로 지목된 전북도와 전북대, 정치권이 단합하지 못하면서 지역경제와 지방대를 살릴 수 있는 알짜배기사업선정대상에서 배제됐다는 지적이다.
1일 국토교통부와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 대상자로 경북대학교와 전남대학교를 선정했다. 올해 두 번째 공모에는 총 23개 대학이 제안서를 제출했고, 11.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경북대와 전남대가 결실을 거뒀다. 이로써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 영남권 등 각 권역별로 1개 대학이 사업을 시행하게 됐다. 호남권에서 전남대가 선정되면서 전북대는 더욱 불리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사업은 대학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바꾸고 기업의 입주 공간과 연구 공간 등 정주여건을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청년들의 지역유출방지와 지방대 역량강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고 지역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전북대는 2차 공모 서류심사 단계에서부터 탈락한 것으로 알려져 아쉬움을 주고 있다. 국토교통위 소속인 더불어민주당 김윤덕(전주갑) 의원 홀로 사업 유치를 위해 고군분투했다는 게 관련 부처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캠퍼스 혁신사업은 비단 전주지역에만 국한되는 게 아닌 지역거점대학을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의원들의 무관심에 정치력이 발휘되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전북대가 이 사업의 공간적 범위를 전주뿐만 아니라 군산, 익산, 정읍, 남원, 완주, 부안, 순창 등 거의 도내 전역을 설정했음에도 국토위 소속인 김 의원만 관심을 가졌다는 점도 반드시 보완해야 할 점으로 거론됐다. 다행히 기획재정부가 재정부족을 이유로 삭감하려던 예산을 김 의원이 다시 살리면서 3차 공모에서 전북이 다시 도전할 수 있게 됐다.
전북도와 전북대 간 공조체계가 미숙했던 점도 탈락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북대는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제안서에 농생명산업을 중심으로 대학주도의 성장플랫폼과 신산업 혁신클러스터 계획을 담았다. 그러나 이는 사업성에서 그다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범위가 광범위한데다 사업을 통해 거둘 수 있는 효과가 기존하고 차별성이 없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하는 뉴딜사업 등 경제, 교육시스템의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반면 광주전남과 대구경북지역은 자치단체장과 대학교 총장, 지역정치권이 함께 선정을 위해 원팀으로 움직였다. 민주당 조오섭 의원(광주 북구을)은 공모사업 선정을 위해 정성택 전남대 총장은 물론 (광주전남)동료 의원들과 국토부, 교육부, 중기부를 밤낮없이 찾아다니며 협의하고 설득했던 게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대는 오는 2030년까지 대구 북구 3만2000㎡ 부지를 활용해 기업이 입주할 산학연혁신허브 건물은 연면적 2만2000㎡ 신축할 계획이다. 예산은 총 1204억 원이 투입된다.
또 2027년까지 1단계로 기업공간과 연구공간, 문화체육시설을, 2단계로 기업연구소와 창업지원 공간을 추가 조성한다. 주요업종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다.
전남대는 같은 기간 3만5609㎡ 부지에 연면적 2만2350㎡ 규모의 산학연혁신허브를 신축한다. 예산은 총 1500억 원이다. 이들 대학은 혁신 아이템으로 정보기술(IT), 환경공학기술(ET), 생명공학기술(BT), 문화콘텐츠기술(CT) 등 첨단산업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