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의 밤마다 그림과 영화와 음악과 시에 기댔다. 내가 사랑하던 것들이 나를 돌봐주어서 나는 그 시절을 무사히 지날 수 있었다. 작가가 되니 참 좋구나. ‘내가 사랑하던 것들이 나를 돌봐주어서 나는 그 시절을 무사히 지날 수 있었다.’ 라고 어여쁜 언어들로 시절을 장식할 수 있으니까.” (200 페이지)
그녀의 글을 읽으며 그 시절의 나를 복기해 보았다. 떠나간 첫사랑을 불러대던 수영이와 클래식 음악이 나오는 필하모니에 자주 갔었다. 찌르레기를 좋아했던 모짜르트를 흠모했고, 홍지서림에서 산 어린왕자를 나눠가졌다. 라디오에 귀를 기울이고 커트머리를 쓸어 올리며 피카디리극장을 기웃대기도 했다. 카페를 유랑하며 침잠하는 우리들의 스무 살을 수첩에 끼적이곤 했다. “열지 못한 편지 안에 아직 스무 살의 봄이 있다.” 는 그녀의 말에 밑줄을 그어본다. 청춘의 방랑과 낭만 속에서 시와 앓았던 스무 살을, 지나쳐버린 일상을 사랑의 온기로 피워 올렸던 시간들이 아득하다.
그녀는 ‘구닥다리이고 서툴고 촌스러워서 세련되게 내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는 시인’이라 자신을 표현했지만 친밀한 이야기를 빛나게 엮어내었다. 시를 쓰는 그녀가 낸 촘촘한 산문집에는 일관된 호흡과 담백한 문장이 가득했다. 제주 중산간에서 자란 유년의 기억과 뭍으로 나온 삶, 그녀가 좋아하는 영화와 음악에 대한 취향, 아이들이 잠든 새벽에 글을 쓰고, 만삭에 등단한 신춘문예, 김치로 시작해서 김치로 끝나는 엄마와의 안부, 시 동아리에서 만난 자신의‘다른 이름’이라 일컫는 남편과 두 딸과의 일상이 들어있다.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은 맑은 물을 마시는 기분이었다. 사랑하는 마음을 잃지 않기 위한 시적인 순간이 담겨있다. 문장에 기댄 시간이 시적인 순간과 만났고, 시에 대한 그리움을 단단하게 묶어둔 문장들이 나를 사로잡았다.
특히 그녀가 좋아하는 것과 내가 좋아하는 취향이 닮아서 더 반가웠다. 라디오와 클래식, 가구 옮기는 일을 취미로 가진, 파김치를 좋아하는, 어린왕자와 빨간 머리 앤 등이 그렇다. 여행을 다니며 모은 어린왕자 책, 각기 다르게 있을 어린왕자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제주사람들은 귤 밭을‘미깡 밭’이라 부른다. 하얀 꽃이 피었다 지면 초록 알맹이가 커져 샛노랗게 익어가는 귤을 만날 수 있다. 겨우내 방안에 누워 귤을 까먹으며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던 기억이 새롭다. 손톱 밑은 노랗게 물들고 감성은 충만함으로 톡톡 터지던. “귤밭을 보며 자란 아이가 귤밭이 없는 곳에서 오랫동안 그럭저럭 지내고 있다.” 라는 마지막 문장을 되뇌인다. 책상에 자주 앉는 일이 ‘쓰는 사람’의 길에 가까워져 가는 것임을 잊지 않으려 한다는 그녀의 생각에, 그렇게 우리는 같은 생각으로 엮여 동류항으로 만나게 된다. 마침내 귤밭이 아닌 육지의 글밭에서 새록새록 문장에 기대고 있는 그녀를.
김헌수 작가는
2018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 시집 <다른 빛깔로 말하지 않을게> <조금씩 당신을 생각하는 시간> 과 시화집 <오래 만난 사람처럼> <마음의 서랍>, 오디오북 <저녁 바다에서 우리는>을 출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