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4:26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이영종 시인- 배귀선 '그리움 쪽에서 겨울이 오면'

image
그리움 쪽에서 겨울이 오면 표지/사진=이영종 시인 제공

보고 싶은 마음이 아지랑이처럼 타오르는 날이 있습니다. 배귀선의 <그리움 쪽에서 겨울이 오면>을 읽기 좋은 날입니다. 어느 집 문을 열면 먼저 반기는 것이 냄새지요. 치매로 돌아가신 아버지의 문을 열면서 그는 깨닫습니다. “잃은 것이 있으면 얻는 게 있고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게 있다는데, 나는 아버지와 사는 동안 얻은 게 많은 사람이다. 잃어버린 십 년이 아니라 나를 찾는 시간이었지 싶다. 현실을 받아들임으로써 생각할 수 있었고, 생각할 수 있어 존재의 실감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움에는 냄새가 있다’ 중). 그리움 쪽에서 오는 경청과 공감은 위로 너머로 나를 데려갑니다. 

그는 눈물 한 방울에도 귀를 기울일 줄 아는 다정다감한 사람입니다. “파릇파릇한 햇살이 닭의 부리에 쪼이는 소리와 측백나무 울타리 사이사이에 박힌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을 줄 압니다. “으레 장사꾼 차가 오면 좌판을 벌이는 곳은 이발소 앞 공터다. 벌써 이발사 영감을 비롯해 외로운 삶들이 두런두런 모여 있다. 물건을 사려는 마음보다는 방 안의 적막을 떨치고 나온 사람들이다.” 이런 소리들이 있어 “외로움이 계화도 육젓같이 곰삭는 곳, 비어 있어 채울 수 있는 공터에 봄이 물드는 것이지요” (‘공터’ 중). 그는 지구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고 있는 민들레를 떠올려줍니다. 상대가 말을 하고 있으면, 다음 할 말을 출발선에 데려다 놓는 나는 닿을 수 없는 존재죠. 

우리 눈은 다른 동물에 비해 흰자위가 넓다고 해요. 그래서 눈동자의 변화를 알아차리기 쉽고, 거짓 웃음과 진짜 웃음도 쉽게 구별한다고 하네요. 눈이 말하는 감정을 잘 알아들을수록 공감 능력이 좋다고 해요. 우리는 상대의 눈과 어떤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살고 있을까요. 그는 말합니다. “사람은 살면서 자기 얼굴에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고 한다. 하면, 살아가면서 표정 관리만 하다 생의 무대에서 내려오는 일 없도록 가슴을 잘 들여다보며 살아야 할 일이다. 얼굴이란 그 사람의 얼이 배어 있기 때문에 얼굴이다. 얼굴이 곧 마음이고 얼굴은 마음에 따라 표정을 만들어 낸다.” (‘표정 나누기’ 중). 가슴에서 우러나는 표정과 말을 보고 싶어요. 나도 가슴에서 그렇게 우려낸 것들을 당신에게 한잔 건네고 싶어지네요. 

눈 펑펑 내리고 바람이 붑니다. 팔뚝보다 굵은 물메기 한 마리를 만 원에 사요. 생것전 초입에 자리한 ‘장안식당’ 미닫이문을 밀치고 들어서세요. 거기서 곰치국, 물곰국, 물잠뱅이탕, 미거지국이라고도 불리는 물메기탕의 연두부 같은 고소함을 맛보세요. 싱싱한 물베기 껍질을 무심코 목구멍에 넘기며 놓을 수도 잡을 수도 없는 상황에 젖어보아요. 그런 다음 차디찬 막걸리 한 사발을 단숨에 들이켜세요. 수필집 제목이 된 에세이 ‘그리움 쪽에서 겨울이 오면’이 그려낸 풍경이 함박 함박 내립니다. 이런 자리에 당신을 부르고 싶네요. 말이 없어도 좋고, 말이 많아도 좋은 곳. 서로의 아픔과 기쁨이 연결되는 곳. 엄마가 울고 있으면 위로해 주는 두 살 먹은 아기가 되는 곳. 그런 자리에 부르면 두말없이 달려와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그리움 쪽에서 찾아온 또 한 번의 겨울이 깊어지도록” 우리 문을 두드리는 눈짓을 들어보게요. 

이영종 시인은

2012년에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아르코문학창작기금에 선정되어 2023년에 첫 시집 <오늘의 눈사람이 반짝였다>를 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귀선 #그리움 #겨울 #수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