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21:57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최아현 소설가 – 경향신문 젠더기획팀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했냐'

image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했냐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언젠가 ‘노동력의 재생산’이라는 말을 들었다. 일하는 사람이 집에 돌아와 다시 직장에 나가기 전에 힘을 다시 비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말한다. 조금 더 익숙한 표현은 아무래도 돌봄, 가사 노동 같은 이름일 테다. 혼자 살기 시작하면서 퇴근 후 집에 들어섰을 때, 늘 쉰다고 느끼기 어려웠다. 일터에서 돌아오면 또 다시 집에서 해야 할 일거리가 쌓여있었다. 배를 채우기 위해 식사를 준비해야 했고, 다음날 출근을 위해 깔끔하게 정돈된 옷가지를 준비해야 했다. 깨끗한 집에서 잠들고 싶어 쓸고 닦는 일까지 하면 쓰러지듯 잠들 수 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집에 돌아와도 쉬지 못했다. 오히려 하루가 영원히 끝나지 않는 것 같았다. 아무리 작은 집이라도 혼자서 그 모든 몫을 해내기에는 시간도 체력도 부족했다. 그동안 집 안 누군가의 암묵적인 몫으로 순순히 덕을 보고 살아오다 별안간 예고도 없이 혼자 그 몫을 다 하게 되었을 때야 무언가 이상했다고 느끼게 되었다. 

“우리가 만난 여성들은 명함이 없다고 했다. 일을 쉰 적은 없다. 그들의 노동을 사회에서 ‘일’로 인정하지 않았을 뿐이다.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했냐』, 中)” 

이 책은 명함 없이 일한 여성들의 인터뷰와 명함을 담고 있다. 대부분의 인물이 가사 노동을 기본으로 해 온 터라 모두가 노동력 재생산 전문가다. 그렇다고 가사노동만 해 온 것도 아니다. “누구도 춘자씨의 노동에 제대로 된 대우를 해주지 않았지만 그는 여성 농민이자, 가사노동자, 그리고 아픈 남편까지 돌본 요양보호사다.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했냐』, 中)”현재는 국숫집을 운영하고 있지만, 양잠업 노동자, 한식당 요리사 겸 경영자, 여성복 디자이너를 모두 거치며 돌봄과 가사노동까지 쉰 적이 없는 손정애 씨, 85년부터 탄광에서 일하며 가사와 육아를 병행한 문계화 씨까지. 명함만 없었을 뿐, 아주 많은 일을 하면서 동시에 쉬어 본 적 없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돌이켜 보면 ‘살림’, ‘집안일’ 같은 단어는 참 두루뭉술한 말이다. 집을 돌보는 일은 단순히 공간을 닦고 정돈하는 일이 아니다. 각 공간을 유지보수하고,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소모품을 채워 넣는 일, 그밖에 생활에 필요한 여타의 것을 생산하는 일까지 포함한다. 성과가 눈에 띄기 어렵고, 포상도 없고, 끝이 없으며, 급여도 없고, 일정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 일이다. 게다가 그 모든 일의 범위는 아주 넓고 다양하고 매끄러운 일의 수행을 위해서는 배경지식과 숙련도가 꼭 필요하다. 그동안 유독 여성들이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일자리에서 묵묵하게 이름 없이 자리를 지켜왔다. 그래서 더욱 직함을 만들어 붙이고 명함을 상상하는 일이 필요하다. 오랜 노고를 위로하고 포상하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최아현 소설가는

2018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소설 <아침대화>로 등단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성 #노동 #명함 #경향신문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